• 검색

[바이오 USA]삼성바이오, 3차원 미니 장기에서 미래 찾다

  • 2025.06.18(수) 17:00

CMO, CDO→CRO사업 진출 교두보
삼성서울병원과 협력으로 '허들' 극복
오가노이드, 기술적·제도적 성장 변곡점

17일(미국 현지시간) 이상명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업전략팀장(상무)이 '삼성 오가노이드' 관련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제공=삼성바이오로직스.

[보스턴=장종원 기자] "오가노이드는 기술적, 제도적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중요한 변곡점에 있습니다. 오가노이드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CMO(위탁생산), CDO(위탁개발)를 넘어 CRO(위탁연구)로 사업을 확대하는 전초기지 역할을 할 것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이상명 사업전략팀장(상무)은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 2025'(바이오 USA)가 열린 미국 보스턴에서 진행된 사업설명회에서 삼성이 오가노이드 분야에 본격 진출하는 이유를 이같이 설명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바이오 USA 개막에 맞추어 환자유래 오가노이드(Cancer-derived Organoid) 기반 서비스를 공식화했다. 삼성서울병원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국내 최대 수준의 암환자 유래 오가노이드를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신약 스크리닝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오가노이드는 인체와 매우 유사한 3차원 '미니 장기'로 이를 통해 신약의 효능, 독성 등을 평가할 수 있어 주목받아왔다.

하지만 주로 환자조직을 통해 제작되기 때문에 일관된 품질 확보가 어렵고, 실험 결과의 재현성이 떨어지는 한계점이 있었다. 글로벌 규제기준이 부족해 실험결과가 부차적인 참고자료로 활용되는 경우도 많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삼성병원이 보유한 정제된 임상 정보, 유전체 데이터, 영상자료 등을 오가노이드와 통합해, 85% 이상의 일관된 유사성을 보이는 환자 유래 질병모델을 확보했다.

여기에 삼성서울병원의 GMP(의약품 제조품질 관리기준) 운영경험을 토대로 한 샘플 처리, 데이터 관리 등의 역량을 더했다. 

규제적 측면에서는 미국 식품의약국(FDA)가 지난 4월, 동물실험 축소를 선언하고 오가노이드·AI 기반 플랫폼으로의 전환 방침을 밝히면서 오가노이드 산업의 성장의 초석을 놓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1년 CMO(위탁생산), 2018년 CDO(위탁개발) 사업에 진출했다. 이후 7년만에 오가노이드를 통한 CRO(위탁연구) 사업에 도전한다.

이상명 팀장은 "오가노이드를 통해 초기 약물 후보 발굴, 약효·독성 평가, 전임상 연구까지 고객사와의 접점을 넓히고자 한다"면서 "궁극적으로는 사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고객이 개발하는 신약이 단기간에 높은 성공률로 제품이 출시돼서 환자들에게 사용될 수 있게 하는 게 가장 큰 목적"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서비스 출시에 앞서 글로벌 20대 제약사 신약개발 연구자 대상 오가노이드 활용 조사를 통해 75%가 발굴단계에서, 85%가 전임상 단계에서 활용 중임을 확인했다.

이 팀장은 "오가노이드 서비스 관련 내용이 전파되면서 바이오 USA에서도 많은 미팅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
  • 오늘의 운세
  • 오늘의 투자운
  • 정통 사주
  • 고민 구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