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신동빈 복귀' 롯데, 정상 궤도 오른다

  • 2018.11.20(화) 10:12

[어닝 18·3Q]5대그룹 리그테이블⑤
롯데쇼핑 실적 개선…면세점 사업도 깜짝 반등
케미칼·푸드는 주춤…복귀한 신동빈 인사 '촉각'

 
오너 부재와 중국의 사드 보복 등으로 올해 내내 주춤했던 롯데그룹이 반등을 모색하고 있다. 우선 주력 계열사인 롯데쇼핑과 호텔롯데 등이 올해 3분기 들어 악재를 털어내면서 정상 궤도에 오르기 시작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나온다.

시장에선 신동빈 회장이 경영 일선에 복귀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올해 연말 사장단 인사를 계기로 그룹을 재정비해 내년에는 본격적인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는 전망이 나온다.

◇ 롯데쇼핑, '사드 보복' 떨치고 반등 스타트

가장 눈에 띄는 점은 롯데백화점과 롯데마트 등 그룹의 유통사업 부문을 담당하고 있는 롯데쇼핑의 실적 개선 추세다.

롯데쇼핑의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4조 674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 늘었고, 영업이익은 1991억원으로 15.3% 증가했다. 3분기 누적으로 봐도 5067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면서 전년보다 8.4% 늘었다. 3분기 순이익 역시 208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흑자 전환했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백화점의 3분기 영업이익은 890억원으로 전년보다 57.4% 증가하며 탄탄한 실적을 유지했다. 여기에 더해 올 상반기 내내 주춤했던 롯데마트도 영업이익 32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보다 41.6%나 늘었다. 지난 2분기에 780억원가량의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의미 있는 실적 개선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시장에선 특히 중국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보복에 따른 불확실성이 점차 해소되고 있다는 점에 더 주목하고 있다. 롯데쇼핑은 지난 2분기 중국 내 마트사업에 대한 회계적 손실을 반영했고, 이어 올해 3분기에 중단사업이익 1061억원을 반영하면서 불확실성을 해소했다.

주영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할인점이 '중단영업손익'으로 분류됨에 따라 연간 2500억원 규모에 달하던 영업 손실이 사라졌다"며 "백화점과 할인점의 수익성 개선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롯데면세점을 운영하는 호텔롯데 역시 실적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 호텔롯데의 3분기 누적 매출은 4조 15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281억원으로 550%나 늘었다.

지난해의 경우 중국 사드 보복의 영향으로 연간 전체 영업이익이 25억원에 그쳤는데, 올해에는 인천공항점 일부 매장 계약해지 등으로 허리띠를 졸라맨 덕분에 실적을 끌어올리고 있다.

◇ 신동빈 회장 메시지 '촉각'…실적주의 인사 전망도

식품 부문에서도 희망의 불씨가 살아나고 있다. 우선 부진한 실적에서 좀체 벗어나지 못했던 롯데칠성음료가 개선의 흐름을 보였다.

롯데칠성음료의 올해 3분기 매출은 별도 기준으로 667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영업이익의 경우 50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7% 늘며 시장 추정치를 큰 폭으로 웃돌았다.

박애란 KB증권 연구원은 "음료 부문 내 고수익 품목인 탄산음료와 생수의 매출 비중 확대로 수익 구조가 개선됐다"며 "피츠 마케팅 비용 축소 등으로 맥주사업의 적자 폭도 다소 줄어든 것으로 파악된다"고 평가했다.

다만 다소 아쉬운 실적을 낸 주력 계열사도 있다. 롯데푸드의 경우 올해 3분기 매출은 4965억원으로 전년보다 4.1% 줄었고, 영업이익의 경우 27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한유정 대신증권 연구원은 "빙과 매출 호조와 육가공 부문의 수익성 개선에도 현금창출원인 B2B(기업간거래) 유지 매출이 부진했다"고 분석했다.

롯데케미칼의 경우 연결기준 3분기 매출이 4조 247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5% 늘며 4분기 연속 4조원대를 유지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5036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 7662억원를 정점으로 계속 줄고 있다.

업계에선 올해 연말 사장단 인사에서도 실적이 최대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달 경영 일선에 복귀한 신동빈 회장이 연말 인사를 통해 메시지를 던질 것으로 보인다"며 "계열사 사장단의 재임 기간 뿐만 아니라 실적 역시 주요한 고려 사항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