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모든 금융권 금융상품 정보 한눈에 비교한다

  • 2015.02.05(목) 15:01

예•적금과 대출, 연금저축상품 등 표준화된 상품 위주
금융당국, ‘금융상품 비교공시 활성화 방안’ 내년 시행

내년부터 전 금융권의 예•적금과 대출, 연금저축상품 금리와 조건 등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게 된다. 본인의 재무상태와 거래목적 등을 입력하면 맞춤형 금융상품도 소개받을 수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5일 금융 소비자의 선택권 강화와 시장경쟁 촉진을 위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금융상품 비교공시 활성화 방안’을 내놨다.

우선 표준화한 금융상품 위주로 전 금융권의 유사상품과 조건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는 전업권 비교공시시스템을 만든다.

 


지금도 각 금융협회가 금융상품 내용을 공시하고 있긴 하다. 하지만 해당 업권의 상품만 담고 있어서 비교가 어려웠다. 또 소비자의 재무상태나 거래목적 등이 반영되지 않아 정작 본인에게 필요한 상품을 찾긴 어려웠다.

반면 전업권 비교공시시스템에선 다수 업권에서 취급하는 유사상품에 대한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다. 가령 예•적금 상품을 검색하면 은행의 정기적금과 정기예금, 상호부금, 재형저축은 물론 저축은행의 정기적금과 정기예금, 신용부금 등을 한꺼번에 볼 수 있다.

대출상품의 경우 주택의 종류와 가격, 대출금액, 대출기간, 금리, 상환방식 등을 입력하면 은행은 물론 저축은행과 보험사의 맞춤형 상품을 찾을 수 있다. 이자율 구간과 전월 취급평균이자율, 총대출비용 등의 상세정보도 알 수 있다.

금감원은 유사상품 금리 등의 업권별 차이점과 원인 분석, 특이사항 등을 담은 공시분석 리포트도 정기적으로 제공한다.

 


전업권 비교공시시스템에서 제외된 금융상품에 대해선 각 업권별 협회시스템을 통한 비교공시를 더 강화한다.

우선 공시 정보를 확충한다. 유사상품에 대해선 같은 수준의 공시 의무를 적용해 업권 간 형평성을 제고하도록 했다.

특히 미공시 유사상품에 대해선 은행권 수준으로 공시를 강화한다. 가령 대출상품의 경우 현재 은행권이 적용하고 있는 금리와 수수료 등 공시 수준을 비은행권으로도 확대하겠다는 얘기다. 보험사들은 당장 올 상반기 중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공시를 시작한다.

더 쉽게 공시정보를 비교할 수 있도록 사용자 환경도 개선한다. 또 금리와 수익률 등에 대해선 과거 3개월, 1년 등 기간별 정보를 따로 제공해 추이를 살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내년 신(新)비교공시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시스템 개발을 추진하겠다”면서 “소비자가 합리적으로 금융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해 소비자 권익 보호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
  • 오늘의 운세
  • 오늘의 투자운
  • 정통 사주
  • 고민 구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