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과 은행계 금융지주의 올 3분기 실적은 다소 밋밋해 보인다. 앞선 1, 2분기와 달리 일회성 이익으로 인한 '깜짝 선물'이 없어 순이익 규모는 다소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다. 대규모 충당금 적립으로 인해 크게 까먹을 것이 없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최근 기업 부실로 인한 대규모 충당금 적립은 매 분기 은행 실적에 부담됐지만 3분기엔 그나마 잘 버티고 있다는 평가다. 정부에서 기업 구조조정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지만 아직은 표면화되지 않아 충당금 적립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시일이 걸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 깜짝 선물 없으니 그저 그런 이익
시장 컨센서스(FN가이드)를 보면 대부분의 은행 혹은 은행계 금융지주의 순이익은 지난해 3분기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한금융지주가 올해 3분기 5897억 원, KB금융지주가 4328억 원, 하나금융이 2587억 원, 우리은행은 2605억 원, 기업은행 2790억 원 수준이다.
지난해보다 순익이 늘어난 곳은 우리은행과 기업은행뿐이다. 전 분기와 비교해도 대출을 크게 늘린 KB금융과 우리은행 정도만이 순익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상반기까지 은행권의 순익이 늘어난 것은 일회성 이익으로 인한 것이었지만 올 3분기엔 이마저도 없는 상태다. 특히 지난 2분기 대한주택보증 주식매각으로 신한 1002억 원, 하나 1492억 원, KB 2095억 원 등 쏠쏠한 이익을 남겼다. 1분기에도 삼성차 채권 관련 이익이 컸다. 장기간의 저금리 상황에서 이런 깜짝 선물조차 없으니 은행권 실적은 저조할 수밖에 없다.
◇ 까먹을 게 없는 게 다행..대우조선은 변수
그나마 다행인 점은 이번엔 크게 까먹을 요인이 없다는 점이다. 전 분기에만 해도 포스코플랜텍, 대우조선해양 등으로 인해 대손충당금이 늘어났고, 최근 매 분기 대기업 이슈가 불거지면서 은행들의 마음을 졸였다.
포스코플랜텍이나 대우조선 등의 이슈는 여전하지만 이미 전 분기에 반영했고 이후 현재까지는 새롭게 발생하는 기업 부실이나 충당금 요인이 없다.
다만 대우조선은 처리방향에 따른 변수가 남아 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어제(1일) 기자간담회에서 "대우조선 실사 결과가 확정되진 않았지만 마무리 단계"라며 "가급적 10월 중에 정리해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달 중순 전후로 가닥이 잡히면 상황에 따라선 충당금 적립 요인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최정욱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산업은행 단독 지원으로 가닥이 잡히면 상관없지만 만약 은행들이 출자전환 등에 참여하게 되면 대우조선에 대한 여신건전성 분류를 정상에서 요주의로 떨어뜨릴 수 있고, 이 경우 대규모로 충당금을 쌓아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최근 금융당국은 은행들에 기업 부실을 대비해 최대한 충당금을 쌓으라고 권고하기도 했다. 하지만 아직 기업 구조조정이 본격화하지 않았고, 그에 따른 신용 이슈(건전성 재분류)도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충당금을 대규모로 적립하긴 어렵다는 지적이 많다. 은행 한 고위관계자는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 이후 충당금 적립에 대한 재량이 거의 없는 상태"라며 "기업 부실에 따른 위험에 공감하지만 당장 내부등급을 떨어뜨려 충당급을 적립하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 두고두고 발목 잡는 포스코
포스코 주식은 두고두고 은행의 발목을 잡고 있다. 포스코 주가 하락으로 3분기에도 추가 감액손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포스코 주가는 9월30일 종가 기준으로 16만 8500원까지 떨어졌다.
최 애널리스트는 "포스코 주가 17만 원 초반을 기준으로 감액손실 규모는 KB금융 830억 원, 신한지주 450억 원, 우리금융 230억 원, 하나금융 210억 원에 이른다"고 예상했다. 이를 반영하면 은행권의 이익 규모는 시장 컨센서스보다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