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카드사 생사 키워드]②피말리는 '금리'

  • 2018.01.23(화) 10:00

회사채 금리 올라 조달비용 상승
법정최고금리·연체가산금리 규제 대출금리 하락
"조달비용-대출금리 피말리는 줄타기"

카드 업계가 꽁꽁 얼어붙고 있다. 내수 시장이 차고 넘쳐 마케팅 비용 지출로 인한 제살 깎아먹기 전쟁이 한창이다. 정부는 카드사의 주 수입원인 수수료 체계를 손보겠다고 나섰다. 지난해 말에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려 조달금리도 올랐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법정최고금리도 내달부터 27.9%에서 24%로 떨어진다. 카드사는 비싸게 돈을 빌려와 싸게 돈을 내줘야 하는 상황이다. 상황을 타개하고자 카드업계는 해외시장진출과 디지털화를 고민하고 있다. 올해 카드업계를 쥐락펴락할 요소들을 키워드 중심으로 풀어본다. [편집자]

 

카드사들은 올해 조달금리와 대출금리 사이에서 피말리는 줄타기를 해야 할 전망이다. 시중금리가 상승쪽으로 방향을 잡은 상황에서 카드대출 법정최고금리와 연체금리는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이달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시장은 금리가 우상향할 것에 무게를 두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저임금 인상 등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정책이 민간소비 증가로 이어져 올해중 한차례 이상 기준 금리가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회사채 평균 금리도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22일 회사채 평균 금리(신용도 AA, 3년물 기준)는 2.673%를 기록했다. 2016년 8월 말 1.6%대까지 떨어졌던 회사채 금리는 이후 꾸준히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카드사들은 걱정이 크다. 은행과 달리 예·적금 기능이 없는 카드사는 차입과 채권발행 등으로 자금을 조달하기 때문에 회사채 금리 인상은 조달비용 상승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업계 1위 신한카드의 경우 지난해 전체 조달자금의 77%를 회사채를 통해 끌어왔다.

 

 

조달비용은 높아지는데 카드 고객에게 받는 대출금리는 낮아진다.

지난해 정부는 대부업법·이자제한법 시행령을 개정해 다음달 8일부터 법정최고금리를 기존 27.9%에서 24%로 낮추기로 했다. 취약계층의 이자부담을 덜고 대부업자들의 무분별한 대출을 막는다는 취지에서다.

카드론과 현금서비스같은 장·단기카드대출서비스에서 얻는 이자 수익은 카드사 전체수익 중 대략 30~40% 안팎으로 적지 않다. 주요 7개 카드사 단기카드대출 최고금리는 대부분 26%를 웃돌고 있어 법정최고금리가 24%로 낮아지면 대출금리수익은 상당 부분 줄어들게 된다.

 

더 큰 영향을 받는 부분은 연체금리다. 카드사는 상환 연체가 발생하면 대출금리에 연체가산금리를 더해 연체금리를 정하는데 그동안 차주(대출받은 고객)의 신용도(기존 대출금리)에 상관없이 법정최고금리 수준의 연체금리를 받아왔다. 현재 KB국민카드(26.9%)를 제외한 B2C(기업과 고객간 서비스) 신용카드 6개사의 최고 연체금리는 모두 법정최고금리인 27.9%다. 법정최고금리 인하조치로 이를 24%로 낮추는 데 이어 금융위원회가 올 4월부터 연체가산금리 인상폭을 3%포인트로 제한하기로 하면서 카드사가 연체금리에서 거두는 수익은 대폭 쪼그라들 전망이다.

 

여윤기 한국신용평가 애널리스트는 "최고금리인하 영향으로 연체이자율이 떨어지면 카드사 전체적으로는 280억원 가량의 순이익 감소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며 "여기에 연체가산금리가 제한되면 순이익 감소 폭은 훨씬 증폭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절대적인 금액에 대한 평가보다 시장이 움츠려들 수 있다는 신호로 의미가 크다"고 덧붙였다.

 

 

카드업계가 속앓이를 하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정부의 대출금리 인하 정책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김상봉 한성대학교 교수는 "법정최고금리가 과거 수년간 대략 5%포인트씩 떨어져 왔는데 하락폭에 따른 파급효과가 얼마나 되는지 파악한 계산 결과가 없다"고 지적했다. 정책 입안자가 어떤 근거로 금리인하조치를 단행했는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도 "정부가 어떤 근거로 숫자를 내리고 있는지 모르겠다"며 "카드업계를 하나의 산업 분야로 인정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업체 입장에서는 이미 정해진 정부정책을 안따를 수도 없어 답답하다"며 "산업을 육성하려는 게 아니라 매번 금리인하조치와 같은 규제일변도의 정책만 내놓으니 어디에서 성장동력을 찾아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