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는 23일 정몽구 회장 주재로 서울 양재동 본사에서 하반기 해외법인장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현대∙기아차 해외법인장 등 총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올 한해 지역별 실적 및 주요 현안 등을 공유하고 내년 생산, 판매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정 회장은 이 자리에서 "내년은 세계 자동차시장이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에서 벗어나 성장 국면에 접어드는 중요한 시기”라며 “생산, 판매 전 부문이 기본으로 돌아가 기초역량을 탄탄하게 다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미국 양적완화 축소에 따른 각 시장별 수요 변화는 물론 환율 추이 등 글로벌 경영환경을 면밀히 분석해 시장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라"고 덧붙였다.
이어 "내년은 현대∙기아차의 프리미엄 차종이 선진시장에 출시되고 핵심 전략 신차들이 글로벌 시장에 공개되는 중요한 해"라고 말했다.
아울러 "신차들의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객 중심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고 판매 성장세를 이어가야 한다"고 밝혔다.
현대∙기아차는 지난 11월까지 전년대비 6% 증가한 690만대를 판매했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목표인 741만대를 뛰어넘어 750만대 이상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지난 11월까지 내수는 전년대비 3.1% 감소한 101만대를 판매했다. 반면, 해외시장에서는 전년대비 7.8% 증가한 590만대를 기록했다.
한편, 현대∙기아차는 내년도 전망에 대해 글로벌 자동차 시장은 증가세를 보이지만 메이커간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현대∙기아차의 주력 시장인 미국과 중국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미국 양적완화 축소의 시행 시기 및 정도에 따라 신흥국들의 위기 가능성이 상존하는 것이 위협요소다.
일본 메이커들은 엔화 약세에 힘입어 세계 시장에서 더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구조조정을 마무리하며 경쟁력을 회복하고 있는 유럽 메이커들의 공세도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현대∙기아차는 달러-원 환율 하락과 수입차들의 공세로 국내외에서 힘겨운 경쟁을 펼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독일 메이커들은 내년에도 환율뿐 아니라 FTA 관세 인하 혜택 등 이중의 이점을 바탕으로 국내시장에서 공격적인 전략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현대∙기아차는 내년도 전망에 대해 글로벌 자동차 시장은 증가세를 보이지만 메이커간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현대∙기아차의 주력 시장인 미국과 중국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미국 양적완화 축소의 시행 시기 및 정도에 따라 신흥국들의 위기 가능성이 상존하는 것이 위협요소다.
일본 메이커들은 엔화 약세에 힘입어 세계 시장에서 더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구조조정을 마무리하며 경쟁력을 회복하고 있는 유럽 메이커들의 공세도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현대∙기아차는 달러-원 환율 하락과 수입차들의 공세로 국내외에서 힘겨운 경쟁을 펼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독일 메이커들은 내년에도 환율뿐 아니라 FTA 관세 인하 혜택 등 이중의 이점을 바탕으로 국내시장에서 공격적인 전략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