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다시 튀어나온 도이체방크 악재…리먼과 다른점

  • 2016.09.30(금) 11:09

美 법무부 벌금 이슈로 연초이어 재부각
제2의 리먼 우려 증폭불구, 차이점도 주목

연초 증시를 놀래켰던 도이체방크 악재가 다시 출몰했다. 뉴욕 증시에서 지난 28일(현지시간)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원유감산 합의에 따른 유가 급등 호재가 묻힐 정도의 위력이었다. 일각에서는 2008년 리먼브러더스 사태의 재현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다만 아직까지는 전반적인 시스템 리스크 전이로 이어지진 않을 것으로 분위기가 우세하다. 전문가들은 현재 리스크가 일부 줄어들 수 있고, 독일 최대 은행인 만큼 독일 정부는 물론 유럽중앙은행(ECB) 또한 도이체방크 위기 확산을 좌시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 美 벌금 부과에 파산우려까지

 

최근 도이체방크는 미국 법무부로부터 불완전판매 관련 벌금 140억달러를 부과받으면서 다시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금융위기 직전 판매한 모기지담보증권(MBS)이 문제였다.

 

도이체방크 주가는 도이체방크를 통해 파생상품 청산을 하는 몇몇 펀드들이 일부 자금과 포지션을 회수한 것으로 알려진 후 헤지펀드들의 공매도까지 겹치며 급락하고 있다. 뉴욕 증시에서 도이체방크 주가는 6%이상 급락, 지난해 7월 고점대비로 65%나 빠졌다. 지난 27일 자회사 매각카드를 내놓으며 반등을 시도하는 듯 했지만 다시 고꾸라지며 우려가 쉽게 사그라들지 않는 모습이다.


도이체방크는 이미 지난 2월 코코본드 이슈로 유럽 증시 급락 주범이 됐고 지난 6월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 결정으로 또 한차례 부침을 겪은 상황에서 이번 벌금 조치는 또다른 직격탄이 됐다.

 

2월 당시 문제가 된 코코본드는 '조건부 후순위 전환사채(Contingent convertible bond)'로 은행 자본비율이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보통주로 전환되거나 상각처리된다. 도이체방크는 지난해 대규모 매각 손실과 소송비용이 발생하면서 연초 코코본드 이자 미지급 가능성이 불거지며 시장 충격을 키운 바 있다.

 

당시만해도 도이체방크의 코코본드 이자미지급 트리거가 되는 보통주자본비율이 5.125%를 밑도려면 237억유로의 상당한 손실이 발생해야 하기 때문에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점쳐졌지만 소송비용이 추가되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미국 법무부가 벌금으로 부과한 140억달러는 도이체방크의 충당금 적립액(약 62억달러)의 두 배로 최근 시가총액과 거의 맞먹는 금액이다. 이렇다보니 일각에서는 도이체방크의 파산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상태다.

 

◇ 시장 변동성 확대 불구, 리먼 때와 다르다

 

도이체방크 악재가 반복되면서 제2의 리먼사태 우려도 다시금 고개를 들고 있다. 2008년 당시 리먼은 자산 매각이 쉽지 않으면서 신용경색에 빠졌다. 도이체방크 주주들 역시 올해 반토막 이상 추락한 주가로 인해 공포에 빠져있다.

 

그러나 연초 당시처럼 도이체방크 리스크가 은행 시스템 전반으로 확산될 우려가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은 "리먼이 특별히 더 취약했다"며 "도이체방크의 경우 고객 기반이 다각화돼 있고 유동성도 풍부한 상태"라고 평가했다. 수익성 악화로 자본이 줄긴 했지만 리먼 당시만큼 크지는 않다는 지적이다. 또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추가 신용을 거부한 리먼 때와 달리 도이치방크는 매각이 힘든 자산을 ECB가 나서 현금으로 교환해줄 가능성이 제기된다.

 

외신들은 또한 도이체방크가 미국 법무부와 벌금 관련 협상을 벌이고 있고 벌금 규모가 지금보다 3분의 1 수준인 50억달러까지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과거 골드만삭스 역시 MBS 부실판매로 도이체방크와 비슷한 150달러의 벌금을 부과받은 후 지난 1월 51억달러로 감축됐고 JP모간 역시 비슷한 상황을 겪었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도 벌금 규모가 낮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일부에서는 도이체방크 자체적으로 벌금을 충당하기 쉽지 않아 독일 정부나 ECB가 나서야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다만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내년 9월 선거를 앞두고 세금을 투입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도입된 은행회생정리지침(BRRD)도 정부 지원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BRRD는 외부 공적자금의 구제금융 이전에 해당 은행 채권자들이 먼저 손실을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 구제금융에 나설 경우 주주와 채권자들의 손실이 불가피하고 이로 인해 유럽 금융시장이 크게 흔들릴 경우 ECB의 추가 부양 가능성을 높일 전망이다.

 

이처럼 제2의 리먼사태로 확산되지는 않겠지만 도이체방크 우려 자체는 시장 변동성을 계속 키울 것으로 보인다. NH투자증권은 다른 유럽은행들은 전반적으로 자본적정성은 양호하지만 수익성 악화와 금융 규제 강화, 도이치뱅크에 이어 부과될 벌금 부담 등으로 불확실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판단했다.

 

SK증권은 "독일이 남유럽 은행들을 도울 때 사사건건 반대했던 만큼 ECB 에 손을 벌리기 쉽지 않을 것"이라며 "다만 구제금융 가능성을 완전히 배재할 수 없고 실제 구제금융 결정 시 주가가 강세전환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
  • 오늘의 운세
  • 오늘의 투자운
  • 정통 사주
  • 고민 구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