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트럼프 시대]'설익은' 12월 금리인상 불가론

  • 2016.11.13(일) 08:10

시장 불확실성 제한되며 인상 여부 다시 '초점'
연준 신뢰 감안해도 12월 기회…내년 더 올릴듯

미국 대선 이후 연말 최대 변수인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시장 시선이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가 승리하자 시장에서는 불확실성이 증폭되며 당장 12월 금리인상에 급제동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었다. 그러나 시장 충격이 제한된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신뢰 문제를 들어 예정대로 금리가 인상될 것이란 분석도 강하게 맞서는 등 불확실성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다.

 

 

◇ 트럼프 충격 제한되며 인상 여건 '여전'

 

지난 9일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 확정으로 연준의 통화정책 불확실성은 어느 때보다 커진 상태다. 이미 대선 전부터 트럼프가 당선될 경우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12월에 예정된 금리인상이 제대로 단행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팽배했다.

 

그러나 최근 시장 충격이 예상했던 것만큼 크지 않았고, 달러가 강세를 보이는 등 시장은 연내 금리 인상에 대비하는 모습이다.

 

고용지표가 긍정적힌 흐름을 보이는 등 경제지표 역시 여전히 12월 금리인상을 뒷받침하고 있다는 평가다. 이달 첫째주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는 전주대비 1만1000건 줄어들며 긍정적인 고용경기 상황을 보여줬다.

 

특히 내주 예정된 미국 10월 소비자물가(CPI)의 경우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12월15~16일) 직전 마지막 나오는 CPI 지표인 만큼 예상치대로 2%를 웃돌 경우 금리인상 가능성을 더욱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하나금융투자는 "시장 일각의 막연한 기대와 달리 연준의 연내 금리인상 의지는 확고부동해 보인다"고 판단했다.

 

◇ 연준 신뢰의 문제..마지막 기회?

 

연준의 신뢰 문제도 계속 거론되고 있다. 트럼프의 대통령 당선 여부를 떠나 그간 시장에 12월 금리인상 시그널을 준 만큼 연내 금리인상이 불발된다면 연준의 신뢰에 상당한 타격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준은 지난해 금리를 인상한 후 올해 한 차례도 금리를 올리지 못한 상태다. 트럼프의 공식취임이 내년인 것을 감안하면 연준으로서는 오히려 트럼프의 개입 없이 금리를 올릴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일 수 있다.

 

이를 염두에 둔 듯 주요 연준 위원들은 12월 금리인상 주장을 지속하고 있다. 제프리 래커 리치몬드 연방은행 총재는 "재정정책 실행이 금리 인상 경로를 더 가파르게 할 것"이라고 밝혔고 제임스 블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도 "12월이 금리를 인상하기에 합리적인 시기"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당장 금리인상 지연 가능성에 안도하기보다는 12월 FOMC 회의에 대한 경계감이 꾸준히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트럼프의 당선으로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낮아질 것이란 예상과 달리 연방기금 금리선물 시장에서 12월 금리인상 확률은 71.5%에서 76.3%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 내년 어차피 금리 더 올려야

 

트럼프의 재정정책 확대와 인프라 투자 의지를 감안할 때 향후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면서 장기적으로 금리 상승 압력이 커질 것이란 점도 불안감을 계속 키우고 있다.

 

트럼프 당선 직후 안전자산 선호로 하락세를 탔던 미국 금리는 트럼프가 당선 수락 연설에서 친시장적 발언을 내놓으면서 급등세로 돌아섰다. 미국 상하원을 모두 공화당이 장악한 것 역시 트럼프의 공약 실행 가능성을 높이는 부분이다.

 

NH투자증권은 "국채발행 기저효과로 인해 적어도 내년 1분기까지는 가파른 물가상승이 예상된다"며 "인프라 투자 확대와 반이민자 정책이 기대 인플레를 높이면서 장기금리 상승압력을 가중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미래에셋대우는 "올해 연준이 금리인상을 참을 수 있겠지만 내년에는 트럼프 정책 기조에 맞춰 최소 2번에서 최대 4번까지 인상을 단행할 여지가 생겼다"고 밝혔다.

 

KTB투자증권도 "미국 재정정책과 이에 따른 인플레 경로에 대한 판단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시장 기대인플레가 현 속도의 가파른 상승기조가 이어진다면 연준의 긴축속도 또한 빨라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는 신흥국 통화대비 달러화 강세를 촉발해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매도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