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근속 15년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특별명예퇴직을 이달중 시행한다.
특별명퇴는 근속 20년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매 분기별 시행하는 일반명예퇴직 보다 지원자 범위를 넓힌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이번 특별명퇴 대상은 본사 인력 3만2000여명 중 2만3000여명으로 약 70%에 달한다. KT는 이중 6000여명이 특별명퇴를 신청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렇다면 왜 황창규 KT 회장은 특별명퇴라는 인력구조조정 특약처방을 내렸을까.

▲ KT가 대규모 명예퇴직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명예퇴직은 노사 합의에 따라 근속 15년 이상 직원 2만3000명을 대상으로 전체직원의 약 20%에 해당한다. 사진은 명예퇴직 발표가 이뤄진 지난 8일 오후 서울 광화문 KT 사옥 모습. /이명근 기자 qwe123@ |
◇매출 대비 인건비 비중, 경쟁사의 2∼3배
KT는 2013년말 기준 직원수가 3만2451명에 달한다. SK텔레콤·SK브로드밴드의 통합 인력 5770명, LG유플러스 인력 6780명에 비하면 월등히 많은 수다. 특히 KT의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은 다른 경쟁사에 비해 월등히 높다. KT의 비중은 8.72%(2013년말 기준)로 단순 비교로 볼 때 SK텔레콤·SK브로드밴드 합산 3.09%에 비해 약 3배 규모다. 통신 3위 기업인 LG유플러스의 4.17%에 비해서도 2배를 웃돈다.
직원들의 평균 근속기간도 KT 19.9년, SK텔레콤 12.4년, SK브로드밴드 10.0년, LG유플러스 6.9년으로 KT가 가장 높다. 평균 근속기간을 직원 평균연령으로 환산하기엔 무리하지만 대체로 KT 직원들의 나이가 많은 것은 사실이다. 그만큼 인력운영에 비효율이 많다는 의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KT는 작년 4분기 창사 이래 분기기준 두 번째로 1500억원에 달하는 영업손실을 기록할 정도로 경영상황이 악화됐다.
이석채 전 회장도 퇴임 직전 임직원들에게 보낸 e메일을 통해 "KT는 매년 경쟁사 대비 1조5000억원 이상 많은 인건비를 쓰고 있다"며 "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인력구조를 가진 기업이라 보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5년마다 반복된 구조조정
특별명예퇴직 시행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3년 남중수 사장 취임 당시에 실시된 특별명예퇴직 땐 5500여명이, 2009년 이석채 회장 취임 무렵 실시에선 5992명의 직원들이 명예퇴직을 신청했다. 그 결과 2002년말 4만3659명이던 직원수는 2003년말 3만7652명으로 줄었고, 2008년말 3만5063명이던 직원수는 2009년말 자회사 KTF 합병을 반영하고도 3만841명으로 감소했다.
일시적으로 상당액의 명퇴 자금이 소요됐지만, 인력 감축으로 매년 약 5000억원의 인건비 절감효과가 생겼고 이를 통해 영업이익이 개선됐다는 게 KT의 분석이다.
황 회장 입장에서도 노조만 동의한다면 특별명퇴 카드를 쓰지 않을 이유가 없었다. 가장 손쉽게 비효율적 인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시장반응은 일단 긍정..'추가해법 나와야'
지난 8일 KT 주가는 전일대비 6.84% 올라, 긍정적인 시장반응을 보였다. 올해는 단기적으로 명퇴금이 반영되지만 내년 이후 이익 개선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현대증권은 "지난 2009년 명퇴 때에는 약 5000억원의 인건비가 절감됐고 관련 업무 위탁에 따른 수수료 비용이 약 2000억원 증가해 연간 이익증가 효과는 약 3000억원 이었다"고 밝혔다. 이번에도 명퇴 규모가 2009년 때와 비슷하다면 이익증가 효과가 클 것이란 계산이다.
반면 삼성증권은 "명예퇴직을 포함하는 구조조정 방안이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요인이다"면서도 "이는 단기적으로 주가의 모멘텀이 될 뿐 본격적인 주가 회복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분석했다. 지속되는 유선사업 매출 하락을 만회하기 위해선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비용 절감 노력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또 자회사 및 여타 사업 부문에 대한 적극적인 구조조정 방안도 근시일 내 나와야 한다는 주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만약 이번 명퇴신청자가 6000여명에 달해 KT 인력이 2만6000여명 수준으로 낮아진다고 해도 인력 비효율이 사라지진 않는다"면서 "인력구조조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력 재활용 방안 등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