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물고..뜯고..씹고.. 이통사 영업정지 흑역사

  • 2014.04.16(수) 08:35

번호이동 쏠림 나타나자 진흙탕 싸움 본격화
자정노력 없이 헐뜯기 계속..정부 대응책 준비

영업정지 기간에도 이동통신 업계의 '가입자 뺏기' 경쟁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역대 최장의 영업정지 징계 조치가 내려졌지만 자숙하기는 커녕 과도한 보조금 지급 등 불법 행위가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한발 더 나아가 상대방을 헐뜯고 편법 행위를 들춰내며 감정 싸움으로 번지는 양상이다.

 

◇ LG유플 번호이동 쏠림이 촉발한 난타전 

 

그동안 이동통신사들이 날카롭게 신경전을 펼쳤던 사안 가운데 하나는 특정 업체로의 번호이동 쏠림 현상이다. 지난 5일부터 단독 영업에 들어간 LG유플러스가 평소보다 많은 번호이동 고객을 유치하자 SK텔레콤과 KT는 이를 '불법 영업의 힘'으로 규정하고 의혹들을 제기했다. 이에 맞서 LG유플러스도 강력하게 반발하고 나서면서 신경전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지난 주말부터 월요일(12~14일)까지 사흘간 총 2만4297명의 번호이동 가입자를 끌어모았다. 보통 휴대폰 매장에서는 토요일과 일요일에 개통을 할 수 없어 예약을 받아놨다가 월요일에 사흘치를 한번에 개통한다. LG유플러스는 이 기간 SK텔레콤으로부터 1만5288명, KT로부터 9009명의 가입자를 유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업정지가 풀리고 처음으로 맞은 주말(5~7일) 번호이동 가입자수(2만4336건)와 비슷한 수준이다. 경쟁사들 논리대로 첫째주말 LG유플러스로의 쏠림 현상이 나타난 것이 '사전 예약' 때문이었다면 둘째 주말에는 번호이동 건수가 크게 줄었어야 한다.

 

하지만 둘째주 역시 전주와 비슷한 수준을 이어갔다는 점은 다른 요인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는게 LG유플러스의 주장이다. 불법으로 가입자를 뺏아온 것이 아니라 ▲무제한 LTE 데이터 요금제 ▲갤럭시S5 출시 효과 ▲나홀로 영업 등 실력으로 승부한 것이 통했기 때문이란 설명이다. 

 

LG유플러스는 이 같은 자료를 근거로 경쟁사들이 제기했던 의혹이 해소됐다고 보고 있으나 이 기간 업체들간 상호 비방과 폭로전이 난무한 점을 감안하면 대치 상황은 계속될 전망이다.

 

◇ '파파라치·함정수사' 헐뜯기 경쟁 점입가경

 

앞서 SK텔레콤과 KT는 LG유플러스에 대해 불법영업 의혹을 제기했다. LG유플러스가 영업정지가 풀리기 직전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최신 스마트폰에 대한 사전예약 형태의 영업을 했다고 주장했다. 영업정지 기간에는 어떠한 형태로든 가입자 유치를 할 수 없는데 LG유플러스가 이를 어겼다는 것이다.

 

아울러 LG유플러스가 영업 첫날부터 과도한 보조금을 살포했다고 지적했다. 두 회사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갤럭시S5에 60만원 가량의 과도한 리베이트를 책정하는가 하면 일부 모델에는 70만원까지 보조금을 뿌렸다. SK텔레콤과 KT는 LG유플러스의 불법 영업에 대한 증빙자료를 수집해 미래부에 고발하기도 했다.

 

그러자 LG유플러스도 반격에 나섰다. SK텔레콤이 영업개시를 앞두고 불법영업 행위 사례를 조사한다는 명분으로 파트너사 인원을 강제 동원해 채증에 투입했다는 것이다. 일명 '보조금 파파라치'를 조직적으로 운영, LG유플러스 전국 매장을 방문해 무리하게 예약가입 서류 작성을 종용하는 등 함정수사를 벌였다고 주장했다. 

 

SK텔레콤이 개인정보 점검을 빌미 삼아 LG유플러스 판매 실적이 높은 휴대폰 매장의 전산코드를 삭제하는 방식으로 압박을 가한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LG유플러스는 경쟁사들이 제기한 의혹이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명될 경우 법적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엄포를 놓기도 했다.


영업정지 징계를 받았음에도 이통사들이 물고 무는 싸움을 벌이는 것은 이 시장이 이미 포화 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이동통신 가입자가 전체 인구수를 웃돌 정도로 많아져 가입자를 서로 뺏어오는 것 말고는 뾰족한 방법이 없어서다. 여기에다 점유율 50%를 사수하려는 SK텔레콤과 시장 판도를 흔들어 도약하려는 LG유플러스 간의 대결까지 더해지면서 경쟁이 더욱 심화되는 모습이다. KT는 한발 물러서 싸움에 휘말리지 않겠다는 입장이나 이달말 영업정지가 풀릴 경우 가입자 쟁탈전에 나서지 않으리란 보장이 없다.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도 진흙탕 싸움이 위험 수위에 도달했다고 보고 대응책을 준비하고 있다. 윤종록 미래부 차관은 지난 14일 이통3사 최고경영자(CEO)를 불러 '영업정지 기간 불법 가입자를 모집하거나 보조금을 살포하면 강하게 처벌하겠다'고 통보했다. 최성준 신임 방통위 위원장은 16일 이통 3사 CEO들과 만남을 가질 계획이다. 취임 후 첫 상견례 자리이나 최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보조금 과열 경쟁 자제를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
  • 오늘의 운세
  • 오늘의 투자운
  • 정통 사주
  • 고민 구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