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SK텔레콤 반박 "LGU+ 주장, 매우 자의적이다"

  • 2016.01.17(일) 09:02

윤용철 홍보실장 "일방적 비난, 오해 불러와"

그동안 경쟁사의 공격에도 대응을 자제해왔던 SK텔레콤이 반기를 들고 나섰다.

 

SK텔레콤 홍보실장 윤용철 전무는 지난 15일 오후 긴급 기자설명회를 자청해 LG유플러스의 주장에 대해 반박했다. 윤 전무는 "급변하는 ICT 환경에서 타사의 정상적인 경영 활동에 대해 아전인수격 해석 및 주장만을 반복하고 있는 경쟁사의 행태에 대해 심각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이어 LG유플러스가 낸 경제효과 분석에 대해 조목조목 해명했다. 우선, LG유플러스가 주장하는 요금 인상 가능성은 현재 시장경쟁 및 정책환경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자사 이익을 위해 억지로 꿰맞춘 일방적 주장이라는 설명이다. 요금은 정부 승인 사항으로 지금까지 인상된 적이 없으며, 케이블TV(SO)는 방송법에 따른 요금 상한제, IPTV는 IPTV법에 따른 정액승인제 규제를 받고 있어 사업자의 임의적 가격 인상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 윤용철 SK텔레콤 홍보실장

 

윤 전무는 또 "LG유플러스가 발주한 연구용역 보고서는 그 자체에 근거한 자의적인 해석일 뿐 공정성, 객관성, 신뢰성이 결여됐다"면서 "이는 SK텔레콤-CJ헬로비전 인수합병(M&A)의 경쟁제한성이 높아야 한다는 결과를 전제하고 연구를 수행한 결과다"고 주장했다.

 

LG유플러스가 말한 GUPPI 지수 역시 SK텔레콤의 상세 재무상황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나, 단순히 공시 자료만을 피상적으로 분석한 것에 불과해 연구 결과에 큰 오류가 존재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LG유플러스가 발표한 합병시 SK텔레콤의 점유율 추정치와 관련해서도 "막연한 가정을 근거로 최대 54.8%까지 이동통신 점유율이 증가할 것이라고 주장하나, 그 근거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면서 "LG유플러슨 CJ헬로비전 KT망 알뜰폰 가입자를 SK텔레콤이 흡수할 것이라 주장하나, 이를 위해서는 KT망 가입자들의 동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유심칩 교환·위약금 등 막대한 비용 이슈가 있다는 점에서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SK텔레콤의 결합상품 점유율이 합병 이후 지속 상승할 것이라는 주장도 비현실적이라고 밝혔다. 그는 "SK의 방송결합상품(이동전화 포함) 가입률(현재 44.9%)이 최대 70.3%까지 증가 예상된다고 주장하나, 이는 CJ헬로비전의 케이블TV 가입자가 모두 SK텔레콤 이동전화를 선택한다는 등 비현실적인 가정의 결과"라면서 "작년 6월 기준 이동전화 포함 결합상품 가입자는 496만명이며, 이 중 SK군의 가입자는 222만명으로 전체 유료방송시장의 7.8%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이와함께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이 경쟁제한성 우려 차원에서 'SK텔레콤은 땅도 안짚고 헤엄치려 한다'고 했던 발언에 대해선 "경쟁제한성의 의미가 불분명하다"면서 "객관적이고 근거있는 분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권 부회장이 통합방송법 제정시 지분율 제한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취지의 발언에 대해선 "통합방송법은 방송법과 IPTV법간 체계화로, 개정법 위배 주장은 미디어법을 곡해한 것이다"고 설명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
  • 오늘의 운세
  • 오늘의 투자운
  • 정통 사주
  • 고민 구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