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슬금슬금 오르는 금리…증권사들 낭패볼 수도

  • 2017.08.03(목) 16:59

국고채 3년물 금리 0.67%P 오르면 최대 1조 손실
25조 웃도는 부동산PF 채무보증도 위험요인 꼽혀

국내외 시장금리가 상승 추세로 전환하면서 증권사들의 최대 리스크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고채 3년 금리가 한 분기에 0.67%포인트 오르면 평가손실이 1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25조원을 웃도는 부동산PF 채무보증도 위험 요인으로 꼽혔다. 정부가 내놓은 8·2 부동산 대책의 여파로 부동산 경기가 꺾이면 채무보증 평가손실이 눈덩이처럼 커질 수 있어서다.


 ◇ 금리 상승 시 채권·채무보증 손실 2조원대

최근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이 양적완화 종료와 함께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면서 국내외 시장금리도 꾸준히 오를 전망이다. 실제로 국내 10년짜리 국고채 금리는 지난해 7월 초 1.4%에서 지금은 2.3% 수준으로 1%포인트 가까이 껑충 뛰었다. 

이 가운데 증권사들의 보유채권과 채무보증 규모가 빠르게 늘면서 우려를 낳고 있다. 지난 1분기 국내 증권사의 보유채권 규모는 182조원에 달했다. 최근 10년간 연평균 18.3% 성장하면서 5.4배나 늘었다.
 
지금까진 이익이 쏠쏠했다. 보유채권을 늘리는 과정에서 시장금리 하락과 함께 채권값이 오르면서 채권부문 분기 이익이 1조원을 웃돌기도 했다. 문제는 금리가 상승 추세로 전환하면서 앞으론 손실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단기간에 시장금리가 크게 오를 경우 충격이 클 수 있다.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02년 2분기 이후 60분기 동안 전체 증권사의 금리 민감도는 평균 0.84, 국고채 3년 금리의 분기 기준 최대 상승 폭은 0.67%포인트였다. 이 기준에 따라 국고채 3년 금리가 한 분기에 0.67%포인트 오른다고 가정할 경우 국내 증권사들의 평가손실이 최대 1조220억원에 달할 것으로 나타났다. 

25조원에 달하는 부동산 PF 등 채무보증도 위험 요인으로 꼽혔다. 8.2 대책과 함께 부동산 시장이 침체에 빠질 경우 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11년 저축은행 사태 당시의 위기 상황을 가정한 평가손실 추정치는 1조1200억원에 달했다.  


◇ 가파른 금리상승 충격 미리 대비해야

자본시장연구원은 최근 3년간 국내 증권사들의 연평균 영업이익이 3조3000억원 수준임을 고려하면 각각 1조원 정도인 채권 평가손실과 채무보증에 따른 손실은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시장금리가 예상치를 벗어나 가파르게 상승하면 손실 규모가 더 커질 수 있고, 특히 금리 민감도가 높은 일부 소형사의 경우 충격이 배가될 수 있다. 채무보증 역시 상위 5개사가 전체 채무보증의 65%를 차지할 정도로 쏠림현상이 심해 특정 증권사에 충격이 집중될 수 있다.

자본시장연구원은 이에 따라 금리 상승에 대비한 선제적인 대응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조언했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증권사가 보유채권의 듀레이션을 줄이거나 금리 파생상품 헤지를 통해 극단적 상황의 손실 위험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자기자본 대비 채무보증 규모가 큰 증권사는 부동산 시장 침체에 대비해 신용위험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면서 "금리가 상승할수록 자금조달 비용이 늘어나는 만큼 채권과 채무보증 부문의 손실이 유동성 위험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유동성 위험을 관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