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비즈人워치]정치 도전하는 전설의 증권맨

  • 2020.03.17(화) 15:23

홍성국 전 미래에셋대우 대표이사
더불어민주당 세종갑 국회의원 후보 
"'수축사회' 타개할 새로운 정책 필요"

"인구 감소와 공급과잉, 역사상 최고 수준의 부채, 부의 양극화 등으로 성장이 어려운 '수축사회'를 타개하기 위해선 대담하고 과감한 정책적 변화가 필요합니다"

한평생 증권맨으로 살아 온 그가 생소한 정치권에 발을 들이는 이유는 명쾌하고 분명했다.

지난 16일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세종 갑 국회의원 출마의 변을 밝힌 홍성국 전 미래에셋대우 대표이사 사장은 "월급쟁이로 출발해서 가장 큰 증권회사 대표에 오른 세종의 아들인 저 홍성국의 실천력에 기대를 걸으셔도 좋다"고 말했다.

홍 전 대표는 1986년 대우증권에 입사해 리서치센터장, 미래설계 연구소장, 대우증권 부사장 등을 거쳐 2014년 12월 대우증권 사장에 올랐다. 이후 2016년 미래에셋에 합병된 미래에셋대우 사장으로 퇴임해 한 회사 사원에서 사장까지 오른 증권업계 전설로 남아있다.

퇴임 후에도 혜안리서치 대표로 경제 전망과 분석을 계속해 왔다. 다수의 저술과 강연, 기고 등을 통해 미래경제학자로서 역할을 해 왔다.

<비즈니스워치>는 직접 홍성국 예비후보와의 인터뷰를 통해 정치권에서의 목표와 경제 정책에 대한 그의 의견을 구체적으로 들어봤다.

◇ "'수축사회' 타결책 제시하겠다" 

- 세종갑 전략공천으로 현역 의원과 대결하게 됐는데, 선거 준비와 차별화 포인트는
▲ 역사의 흐름 속에서 세종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접목해야 하는데, 그동안은 세종시 하나만 놓고 봤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현실성이 떨어졌다. 향후 마련할 공약을 큰 흐름 속에서의 공약이 될 수 있도록 열심히 공부하고 있다.

특히 이번 선거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선거가 중요하다. 페이스북을 오래 해왔기 때문에 SNS 소통에 자신 있다. 곧 유튜브를 통해 홍성국 TV로 매일 소통할 것이며, 선거 모든 과정을 페이스북으로 중계할 것이다. 생각과 뜻이 있다면 월급쟁이 출신도 정치를 할 수 있음을 보여줄 수 있는 사례가 되길 바란다.

- 더불어민주당 입당 소식에 업계에서는 의외라고 평가하는데
▲ 여당이든 야당이든 현재 경제 정책에는 큰 차이가 없다. 경제를 바라보는 시각이나 미시적인 정책은 유사한데 지향점이 다를 뿐이다. 접근 방식에 있어서 더불어민주당은 양극화 해소를 강조하고, 미래통합당은 예전처럼 신자유주의 방식으로 나가자는 것인데 지금은 신자유주의가 될 수 없다고 봤기 때문에 더불어민주당 방식이 맞다고 본다. 현재 글로벌 금융시장만 보더라도 시장 자유에 맡기는 신자유주의는 불가능하다. 모든 국가가 즉각 시장에 개입하고 해결에 나서지 않나.

- 본인이 경제를 바라보는 지향점이 민주당과 같다는 건가
▲ 그렇다. 일각에서 내가 변했다고 보는 것은 그동안 나의 경제 시각을 잘 모르는 사람들 얘기다. 도서 '수축사회'만 보더라도 세계적인 인구 감소, 공급과잉, 저성장, 과잉 부채, 그로 인한 경제 불평등과 양극화 등에 따라 다양한 구조적 변화가 나타나는 수축사회로 구조가 변화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대담하고 과감한 정책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정부가 부동산 가격 잡기 위해 집값에 적극 개입하고, 양극화 해소를 위해서 노력해야 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 "정책 주문할 수 있는 경제 정치인 될 것"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경제 대변인으로 후보자를 지목했는데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가 
▲ 선거 결과와 관계없이 경제 대변인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고 정책 참여가 아닌 정책 주문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다음주부터 주로 논평 중심으로 역할을 해나갈 예정이다.

- 해외에선 금융전문가가 정치권에 진입하는 사례가 많으나 우리나라는 생소한데
▲ 선진국은 경제 금융화가 우리보다 훨씬 진전되어 있고 그들의 역사 발전에 있어서 투자은행이(IB) 중앙은행에 준하는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금융이라 함은 사익을 추구하는 그들만의 리그로 잘못 이해되고 있어서 지금까지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금융은 모든 산업과 정치, 경제, 사회가 어우러지는 가장 중요한 혈액이기 때문에 앞으로는 금융 출신이 많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금융 위기론까지 나오는데 올해 경기 전망은
▲ 현재로선 코로나19 사태가 가장 중요한 이슈다. 코로나19 사태가 잠잠해지고 금융시장이 안정화된다 하더라도 무너진 산업 밸류 체인을 복구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다. 전 산업의 밸류 체인이 무너진 상황이라 더디게 회복이 될 텐데, 하반기가 되면 지금 일어나는 글로벌 경기 부양책 때문에 회복은 빠르게 될 수 있다.

다만 하반기까지 기다릴 수가 없기 때문에 징검다리로 추가경정예산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 지금 중요한 포인트가 크레딧 리스크다. 지금은 성장을 얘기할 것이 아니라 기업 부도를 막는 것이 더 중요하다. 공급과잉에 따른 기업 부도가 많을 수 있기 때문에 추경과 재난기본소득이 필요하다.

◇ "코스피 역사적 저점…분할 매수 전략"

- 주식시장 전망은
▲ 주식시장은 항상 불확실하다. 하지만 이번에는 시장 외 요인이 시장으로 번진 것이다. 이전에 일부 선진국은 기술주 중심의 버블의 기미가 있었는데 이번 계기로 거의 정리됐다. 글로벌 주식시장은 상장지수펀드(ETF) 등 패시브펀드가 많아 과민 반응할 수밖에 없고, 우리나라도 신용융자나 주식담보대출 등이 자동으로 반대매매에 나섰기 때문에 시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글로벌 증시의 고평가 논란이 해소됐고 수급 측면이 개선됐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특히 한국 증시는 현저하게 싸기 때문에 당장은 힘들어도 6개월 앞을 놓고 보면 매력적이다. 코스피 주가순자산비율(PBR)이 0.7 정도로 역사적 저점 수준이라 조금씩 분할 매수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다만 과거로의 회귀가 아니라 4차 산업혁명 등 시대에 맞는 새로운 추세에 맞춰 이전과는 다른 스타일이 투자의 중심이 될 것 같다.

- 지난해 더불어민주당에서 자본시장 활성화 특별위원회가 어느 정도 역할을 해줬는데 지금은 그마저도 없다. 현재 자본시장에서 가장 필요한 정책은
▲ 사실 우리나라 자본시장은 제도의 문제가 아니라 문화의 문제다. 투자 문화가 합리적이고 선진적으로 투명해야 하는데 파생결합펀드(DLF), 라임 사태가 시장에 비수처럼 꽂혔다. 기본적인 컴플라이언스 규정이 문화로 안 잡혀 있어서 이런 일이 발생한 것이고, 제도를 추가로 도입할 것이 아니라 초등학교부터 금융교육을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 마지막으로 어려운 경제 상황에 불안해하는 국민들을 위해 한마디 해달라
▲ 모두 어려운 상황에서 수축사회 전환이라는 역사적인 전환점에 있다. 그렇지만 한국이 잘 적응하고 있고 이겨내고 있다고 본다. 코로나19 사태 대응을 봐도 그렇고, 4차 산업혁명에서도 '퍼스트 무버'는 아니지만 '퍼스트 팔로우'는 잘하고 있다. 무의미한 낙관론을 펼칠 수는 없지만, 우리 스스로 지나친 비관론에 빠져 있을 필요도 없다. 한국은 이번에도 이겨낼 것이다. 용기를 가질 필요가 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