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점심과 딤섬의 관계

  • 2014.04.04(금) 08:31

딤섬은 보통 중국식 작은 만두 요리, 혹은 가볍게 먹는 식사 정도의 뜻으로 알고 있다. 한자로는 점심(點心)이라고 쓴다. 우리가 한낮에 먹는 식사인 점심과 글자가 같다. 의미는 마음에 점을 찍는다는 뜻으로 음식과는 전혀 관련 없다. 점심의 참뜻은 무엇이며 딤섬과 점심은 또 어떤 관련이 있을까?

점심의 의미를 알려면 식사의 역사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지금은 주로 하루 세 끼를 먹지만 모든 사람들이 아침, 점심, 저녁 세끼를 꼬박 챙겨먹게 된 것은 불과 100년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옛날에는 식사 횟수도 신분에 따라 달랐다. 황제는 하루 네 번, 제후는 세끼를 먹었고 관리는 아무리 벼슬이 높아도 아침과 저녁 두 차례를 먹었다. 서기 79년, 한나라 때 백호관회의에서 정한 규칙으로 터무니없는 모임 같지만 전국 유학자들이 모여 삼강오륜과 같은 사회규범을 결정한 회의다.

황제와 왕을 제외한 사람들이 하루 두 끼만 먹었던 시절, 시장기를 달래 줄 가벼운 요깃거리가 필요했다. 그래서 간식으로 먹은 것이 바로 점심이었는데 '점심'이라는 단어가 보이는 것은 당나라 무렵이다. 당나라 재상의 부인이 "아직 아침밥을 먹을 때가 되지 않았으니 우선 점심을 먹자"라는 말이 칠수유고(七修類稿)라는 책에 처음 보인다. 지금과 달리 아침 식사 전 공복을 채우는 음식을 보고 점심이라고 한 것이다.

한자로 마음에 점을 찍는다는 점심은 과연 어떤 뜻일까? 조선의 실학자 이익이 성호사설에 의미를 풀이했다. 허기지다는 느낌은 마음에서 비롯된다. 때문에 허기진 마음에 점을 찍듯 작은 음식을 먹어 배고픔을 생각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바로 점심이다.

이렇듯 허기진 마음을 채우며 간단하게 먹는 것이 점심이었는데 세월이 흐르면서 한자문화권에서 지역에 따라 읽는 방법이 달라졌고 의미에도 차이가 생겼다. 우리말로 점심은 낮에 제대로 먹는 식사라는 뜻이지만 광동어인 '딤섬(Dimsum)'은 때와 관계없이 가볍게 먹는 식사라는 의미다. 반면 중국어 표준말인 디엔신은 원래의 의미가 그대로 남아 있다. 조금 먹는다는 간식이라는 뜻이다. 주로 샤오츠(小吃)라고 말한다.

표준말 대신 딤섬이라는 광동어로 널리 알려진 것에서 짐작할 수 있는 것처럼 딤섬은 홍콩에서 발달해 세계로 퍼졌다. 중국의 개혁개방 이전, 아시아 금융의 중심지였던 홍콩에서 유행해 서양으로 전해졌고 거리의 분식집은 물론이고 호텔에서도 먹는 고급 요리가 됐다.

흔히 중국식 만두를 보고 딤섬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간단하게 식사처럼 먹을 수 있는 음식은 모두 딤섬이 될 수 있다. 홍콩에서 주로 먹을 수 있는 딤섬 종류만 해도 200가지가 넘는다고 하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만두 종류이기 때문에 만두 종류가 딤섬이라고 알려진 것이다.

가볍게 먹는 식사 딤섬은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황제나 제후, 고관대작의 간식에서 출발한 음식이다. 역사적 의미를 따지고 보면 외식을 하면서 딤섬을 먹을 수 있다는 것, 아니면 점심을 포함해 하루 세끼를 먹을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옛날 기준으로 보면 복 받은 것일 수도 있다. 적어도 제후 수준의 식사를 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