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진그룹이 골프장 운영 계열사 렉스필드컨트리클럽의 장악력을 높일 기회를 잡았다. 렉스필드CC가 2대주주의 제동으로 좌절됐던 유상증자를 7년 만에 재추진하고 있어서다.
![](https://cdn.bizwatch.co.kr/news/photo/2022/11/15/1b5dc167ecc74ecfdfec4305b7d9bdc3.jpg)
웅진, 렉스필드CC 실질지분 과반 못미쳐
26일 웅진그룹에 따르면 렉스필드CC는 다음달 19일 200억원의 유상증자를 실시한다. 주주배정 방식으로 주당 3050원(액면가 500원)에 655만7374주를 발행한다. 현 발행주식의 163% 규모다. 2006년 1월 이후 첫 자본확충이다.
렉스필드CC는 경기도 여주시 27홀 골프장을 운영하고 있다. 일본 지바현의 18홀 골프장 오하라 온주쿠 GC 인수를 위한 것이다. 일본 현지법인 렉스필드재팬 설립과 함께 증자 자금을 출자해 24억엔에 지분 100%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웅진그룹 지주사 ㈜웅진과 전남 연고의 중견 건설사 세운건설 계열의 극동건설이 각 43.24% 공동 1대주주다. 원래는 웅진그룹 오너 윤석금(79) 회장이 86.48%를 보유하다가 극동건설 부도로 촉발된 그룹의 유동성 위기로 이원(二元) 지배주주 체제가 됐다.
2009년 12월 윤 회장으로부터 렉스필드CC 지분 절반을 증여받았던 극동건설이 2012년 법정관리에 들어간 뒤 2016년 세운건설에 매각된 데 따른 것이다. 나머지 지분 절반은 2014년 10월 ㈜웅진이 증여받은 주식이다.
다만 경영권은 웅진그룹이 행사하고 있다. 이사회 4명(사내 1명·비상무 3명) 중 3명이 남기성 대표 등 웅진 측 인사다. 바꿔 말하면 웅진이 렉스필드CC의 경영권을 쥐고는 있지만 증자를 계기로 지배기반 또한 한층 강화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https://cdn.bizwatch.co.kr/news/photo/2024/11/18/aa71f13cceb824e619eb12111b1f8534.jpg)
2017년 ㈜웅진 대상 증자 극동건설이 제동
㈜웅진은 현재 윤 회장의 두 아들 윤형덕(47) 렉스필드CC 부회장(미등기), 윤새봄 ㈜웅진 대표 각 1.9% 등 4명을 특수관계인으로 두고 있다. 6.32%다. 이를 합해도 실질 지분 49.56%로, 절반에 못미친다. 반면 소수주주의 지분이 7.20%로 ㈜웅진의 특수관계 보다 0.88p 많다. 앞으로 경영권 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아예 없다고는 볼 수 없다.
특히 웅진그룹은 2017년 11월 렉스필드CC의 50억원(발행주식 500만주·주당 1000원) 제3자배정 증자를 추진하다가 극동건설의 신주발행금지 가처분신청으로 제동이 걸린 전례도 있다. 당시 렉스필드CC 증자는 ㈜웅진만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이로 인해 ㈜웅진의 지분은 74.69%로 증가하는 반면 극동건설은 19.28%로 축소가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이번 증자는 주주배정 방식이지만 웅진이 소유지분을 확대할 여지가 있다. ㈜웅진은 일찌감치 배정(1주당 1.63주) 액수대로 86억원을 출자키로 한 상태다. 이에 더해 주주 청약 뒤 발생하는 실권주 처리 방안을 이사회에서 결정키로 함에 따라 실권주를 추가로 인수할 수 있다.
현재 ㈜웅진 및 특수관계인, 극동건설을 제외한 소수주주는 787명이다. 배정금액은 14억원이다. 만일 소수주주들이 전량 증자에 불참하고, 실권주를 ㈜웅진이 사들인다면 47.7%로 확대된다.
따라서 극동건설이 전량 참여해도 공동 1대주주 체제가 깨지게 되는 셈이다. 게다가 윤 부회장 등 특수관계인이 몫 13억원을 전액 청약한다면 ㈜웅진은 54.02%의 실질 지분을 확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