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마사회 국감]CU·GS 등 대기업 매점계약 지속 증가

  • 2019.10.17(목) 17:27

2015년 이전까진 사회적약자 매점운영비율 87% 달해
올해 사회적약자 비율 36%…대기업은 64%까지 증가
김현권 의원 "취약계층 배려 포기하고 수수료 수익만"

경마장을 운영하는 한국마사회가 CU·GS 등 대기업에 매점 계약을 몰아주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존 국가유공자와 장애인단체 등을 대상으로 했던 매점계약이 대기업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김현권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17일 한국마사회로부터 자료를 받아 공개한 '마사회 매점 계약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5년 마사회가 매점 운영계획을 변경하면서 '개별 임대 및 편의점 프랜차이즈 가맹' 방식을 '편의점 프랜차이즈업체 일괄 위탁'방식으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매점 운영계획이 바뀌면서 경쟁 입찰을 통해 GS가 매점 운영 사업자로 선정됐고 총 20개의 GS 편의점이 들어섰다. 이후 2016년 CU도 선정돼 7개의 대기업 운영 편의점이 추가됐다. 이러한 현상은 매년 전국적으로 확대됐고 올해는 72개의 대기업 프랜차이즈 편의점이 마사회 내에서 매점 운영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마사회는 국가유공자, 장애인단체 등 사회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저렴한 임대료로 120여개의 매점을 운영했었다. 2015년 이전까지만 해도 사회적 약자 배려 비율이 87%에 달했다. 하지만 매점운영 계획 변경 이후 사회적 약자 배려 비율은 지속적으로 줄어 올해는 36%까지 떨어졌다.

대기업 프랜차이즈 편의점 중심으로 매점 운영계약을 체결하자 매출액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사회가 제출한 '2018~2019년 편의점별 매출액'에 따르면 2015년 20개 편의점의 총 매출액은 6328만원에 불과했으나 이듬해인 2016년 매출액이 11배 증가, 7억 3053만원을 달성했다. 이후 매출은 꾸준히 증가해 올해는 9월 기준 15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2015년부터 지난 5년 간 대기업 프랜차이즈가 올린 매출액은 43억 8900만원에 달한다.

김현권 의원은 "소외계층의 자립을 위한 공익적 역할을 해야 할 마사회가 대기업 프랜차이즈 점포 확장에 나서는 이유가 무엇이냐"며 "결과적으로 마사회가 사회적 취약계층 배려를 포기하고 프랜차이즈 편의점을 통해 수수료 수익 사업을 한 것과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