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를 맞아 경제·금융 당국수장들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건전성 관리'와 '상생'을 금융권에 거듭 당부했다. 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부동산발 리스크에 대한 위기의식이 날로 커지는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한 것이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4/01/03/MD2024010316122312_wmark.jpg)
3일 은행연합회, 생명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 금융투자협회, 여신금융협회, 저축은행중앙회 등 6개 금융협회는 소공동 롯데호텔 2층 크리스탈 볼룸에서 '2024년 범금융 신년인사회'를 개최했다.
이날 인사회에는 금융사 대표, 정부 관계자, 국회의원, 언론인, 금융유관기관 대표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이복현 금융감독원 원장 등 주요 기관장의 신년사와 백혜련 국회 정무위원장의 격려사가 차례로 진행됐다.
'부동산 PF 관리' 한 목소리
이날 신년사를 발표한 4명의 경제·금융 당국수장들은 하나같이 '부동산 PF 리스크 관리'를 당부했다. 먼저 발언에 나선 최 부총리는 "부동산 PF에 대한 금융사들의 영업방식과 재무관리 등을 보완해 달라"며 "손실흡수능력 강화를 위한 충당금 확충과 올해 시행하는 경기대응완충자본 적립 등 건전성 관리에도 만전을 기해 달라"고 주문했다.
김 위원장도 "국내경제는 부동산 PF, 가계·기업 부채, 성장동력 정체 등 많은 위험과 불확실성에 노출돼 있다"며 "장단기 이슈를 아우르는 입체적인 정책 대응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위기에도 튼튼한 금융을 공고히 하겠다"며 "부동산 PF, 제2금융권 건전성, 가계부채 등의 정상화 및 안정화에 만전을 기하면서 금융의 건전성과 복원력을 높여 나가겠다"고 했다.
이 총재 또한 "한은은 국제적으로 검증된 방식에 근거해 균형을 유지하면서 정교한 정책조합을 통해 라스트 마일에서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을 잘 마무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일부 위험신호가 감지되고 있는 부동산 PF의 경우 질서 있는 정리 과정에서 한은도 정부 및 금융기관과 협력을 통해 금융안정을 달성하는 데에 힘을 보태겠다는 설명이다.
이 원장도 "연초부터 시작된 미국·유럽발 뱅크데믹, 부동산 PF 리스크 확대 등에 대응해 관계부처와 금융당국, 그리고 금융권이 힘을 모아 어려움을 잘 넘겼다"며 "리스크 대응체계를 고도화하고 손실흡수능력을 충분히 확보해 어떠한 상황에서도 금융안정이 실현되도록 만전을 기해달라"고 강조했다.
체감도 높은 '상생금융' 당부
국내 금융 수장들은 고금리가 지속 되면서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커질 수 있다며 상생금융에도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총리는 "지난달 은행권이 강조한 2조원 규모의 상생금융 지원방안에 대해 다시 한번 감사드리며 빠른 시일 내 체감도 높게 실행되길 바란다"며 "제2금융권 소상공인 고금리 대출에 대해서는 정부가 재정 3000억원을 투입, 이자 환급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도 "양극화, 고금리 등의 난관을 헤쳐 나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서민 등 취약계층이 무너지지 않도록 함께 힘써 사회적 연대감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민생을 침해하는 금융 범죄를 근절해 국민들의 안정적인 금융 생활을 수호하고 역동적인 디지털 금융생태계를 조성하는 등 금융혁신의 기틀도 다져나가겠다"며 "상생을 위한 노력이 내실 있게, 계속하여 운영될 수 있도록 사회공헌 지원체계 등을 정비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