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食스토리]는 평소 우리가 먹고 마시는 다양한 음식들과 제품, 약(藥) 등의 뒷이야기들을 들려드리는 코너입니다. 음식과 제품이 탄생하게 된 배경부터 모르고 지나쳤던 먹는 것과 관련된 모든 스토리들을 풀어냅니다. 읽다 보면 어느새 음식과 식품 스토리텔러가 돼있으실 겁니다. 재미있게 봐주세요. [편집자]
파스는 집집마다 구비해두는 대표 가정상비약입니다. 일상에서 통증을 느낄 때 많은 사람들이 파스를 찾습니다. 약국이나 편의점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고 아픈 부위에 붙이기만 하면 통증을 완화할 수 있어서겠죠.
그런데 우리는 파스의 원리나 사용법에 대해서는 잘 모릅니다. 차가운 파스부터 뜨거운 파스까지 그 종류도 다양하고요. 파스는 매번 붙여도 괜찮은 걸까요. 또 파스는 어디에, 어떻게 붙여야 할까요.
국산 파스의 역사는 한국전쟁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전쟁 직후 우리 국민들은 가난과 배고픔에 시달렸습니다. 육체노동으로 생계를 이어가던 대부분 국민들이 근육통에 시달렸고요. 하지만 당시에는 국산 파스가 없어 일본에서 밀수한 비싼 파스에 의존해야 했습니다.
이때 신신제약 창업주 이영수 회장이 나섭니다. 1959년 이 회장은 "질 좋고 값싼 파스를 만드는 것이 국민의 통증을 덜어주는 길"이라며 제약사를 설립했습니다. 이렇게 탄생한 '신신파스'가 우리나라 최초의 파스입니다. 이후 신신파스는 오랫동안 국내 대표 파스로 자리 잡았습니다. 지난해 기준 붙이는 파스 매출만 약 300억원에 달합니다.
그럼 파스는 어떤 원리로 통증을 줄여주는 걸까요. 사실 파스가 근육통을 치료하진 않는다고 합니다. 파스는 뇌를 속여 통증을 못 느끼게 만드는 '진통제'인데요. 몸을 다치고 조직이 손상되면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물질이 분비됩니다. 프로스타글란딘은 염증을 일으키며 통증 수용체를 자극하고요. 프로스타글란딘이 보낸 신호를 뇌가 받으면 우리는 통증을 느낍니다.
이때 진통제 성분은 몸속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이 만들어지는 것을 방해합니다. 통증 신호를 전달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이 억제되면서 뇌는 아프다는 신호를 받을 수 없게 되고요. 파스를 붙이면 진통제 성분이 아픈 부위로 들어가면서 통증을 느낄 수 없게 되는 겁니다. 파스는 병원에 갈 수 없는 상황에서 '임시방편'으로 사용하는 게 좋겠네요.
그런데 최근 몇 년 전부터 파스를 붙이는 위치에 대한 논쟁이 있었습니다. 아픈 부위에 파스를 붙여왔던 파스 사용법이 잘못됐다는 건데요. 예를 들어 손목의 바깥쪽이 아프면 손목 안쪽에 파스를 붙여야 한다는 얘기였습니다. 그래서 파스를 생산하고 있는 제약사에 물어봤습니다. 파스를 어디에 붙여야 하는지요.
제약사에 따르면 파스는 기본적으로 아픈 부위에 붙이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파스는 한번 피부에 붙이면 지속적으로 약물이 작용하는 만큼 잘 떨어지지 않는 곳에 붙이는 곳이 좋다고 하는데요. 업계 관계자는 "일각에서 파스의 소염진통 성분이 혈류로 잘 흡수될 수 있도록 혈관이 많이 모여 있는 부분에 붙이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한다"며 "하지만 파스의 성분이 계속 흡수될 수 있도록 무엇보다 잘 떨어지지 않게 부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오히려 파스의 위치보다는 통증 종류에 따라 적절한 파스를 선택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파스는 시원한 느낌을 주는 '냉감 파스'와 따뜻한 느낌을 주는 '온감 파스'가 있는데요. 냉감 파스에는 멘톨이나 박하유같이 시원한 느낌을 주는 성분이 있어 부딪치거나 삐어 아픈 부위가 부어올랐을 때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반면, 오래된 신경통이나 관절염 등 만성 통증에는 온감 파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온감 파스 속 노닐산바닐릴아미드, 캡사이신 등의 물질이 따뜻한 느낌을 주고 혈류를 원활하게 돕기 때문입니다.
파스는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의약품입니다. 무엇보다 편리한 게 가장 큰 장점이죠. 뿌리거나 붙이는 파스는 알약이나 주사보다 부작용도 적고, 환자의 거부감도 덜합니다. 하지만 이 편리함은 당연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찾아보니 파스에 활용되는 기술은 생각보다 복잡하더라고요. 피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막이죠. 따라서 약물이 피부를 뚫고 체내로 들어가게끔 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닙니다. 국산 파스의 성장 뒤에는 탄탄한 기술력이 있었고요.
현재 파스는 근육통을 완화하는 것을 넘어 더 광범위한 치료제로 진화하고 있다고 합니다. 파스에 기반이 되는 '경피형 약물 전달 시스템(TDDS)'을 활용해 붙이는 치매 치료제, 편두통 치료제 등이 개발 중이라고 합니다. 주사를 맞지 않고 파스같이 붙이는 '패치'로 질병을 치료하는 날이 올까요. 언젠가 파스를 사용하게 된다면 파스의 원리와 사용법을 떠올리길 바랍니다. 물론 사용할 일이 없는 게 가장 좋지만요.
*[食스토리]는 독자 여러분들과 함께 만들어가고픈 콘텐츠입니다. 평소 음식과 식품, 약에 대해 궁금하셨던 내용들을 알려주시면 그중 기사로 채택된 분께는 작은 선물을 드릴 예정입니다. 기사 아래 댓글이나 해당 기자 이메일로 연락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