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대출 늘고 연체율 뛰는데…걱정 말라는 금감원

  • 2023.05.25(목) 18:22

"가계대출 증가, 특례보금자리 영향에 일시적"
"연체율 코로나19 이전 수준…우려 상황은 아냐"

코로나19 이후 가계대출이 급증한 가운데 최근 금융권 연체율이 빠르게 오르자 금융당국이 진화에 나섰다. 건전성을 비롯해 금융 시스템 리스크가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어서다.

금융당국은 당분간 금융권 연체율은 상승하겠지만 금융시스템 건전성을 위협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부동산 시장 침체 장기화로 가계대출 증가 폭도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가계대출 증가폭 제한적'…경각심 놓지 않을 것 

금융감독원은 25일 '가계대출 동향 및 건전성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준수 금감원 부원장을 비롯해 은행 및 중소서민금융 협회, 민간 전문가 등 총 20명이 참석했다.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4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약 1599조원으로 전월 대비 2000억원 늘어나며 증가 전환됐다. 최근 시장금리가 하락하면서 은행 대출금리가 하향 안정화되자 대출 수요가 다시 늘어나는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이에 대해 금감원은 특례보금자리 등 정책모기지 대출 규모(4조7000억원)가 늘어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정책모기지를 제외한 은행권 대출(집단대출·전세대출·신용대출)과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4월에도 감소세를 지속했다는 것이다.

올해 1~4월 누적 기준으로 가계대출은 18조1000억원 감소했다. 가계대출 감소가 본격화된 지난해 9월부터로 집계 기간을 늘리면 지난달까지 누적 감소 규모는 26조1000억원이다.

이를 감안하면 당분간 가계대출 증가 폭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게 금감원 진단이다. 아직 대출 금리가 연 5% 안팎으로 높은 데다 주택 거래가 예년보다 줄고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상생 금융 차원에서 주요 은행들이 일부 대출에 대한 금리를 소폭 인하했지만 가계대출 증가를 유발한 것으로 보기는 곤란하다"면서 "우리나라 가계대출 규모가 높은 수준이고, 향후 자산시장과 시장금리 향방에 따라 증가세가 빨라질 수 있는 만큼 경각심을 놓지 않고 관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체율은 코로나 19 이전 수준 

지난해부터 금리가 빠르게 오르면서 이자를 갚지 못하는 차주가 늘고 있다. 이로 인해 금융권 연체율 기울기도 가팔라지고 있다. 

업권별 연체율 추이 /그래픽=비즈워치

지난해 말 대비 올 1분기 말 기준 전체 금융권 연체율은 모두 상승했다. 1분기 말 은행 연체율은 0.33%로 0.08%포인트 올랐다. 같은 기간 저축은행과 상호금융의 연체율은 각각 5.07%, 2.42%로 1.66%포인트, 0.90%포인트 뛰었다. 카드사와 캐피탈사의 연체율도 각각 0.33%포인트, 0.54%포인트 오른 1.53%, 1.79%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금감원은 현재 은행과 여전사의 연체율 수준은 코로나19 발생 직전, 상호금융권과 저축은행들은 2014∼2016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파악하고 있다.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나 저축은행 사태 등의 시기에 비해서는 양호한 수준이라는 게 금감원 평가다.

여기에 코로나19 시기 대출이 급증하면서 2021년 사상 최저치로 하락한 연체율이 대출 위축과 함께 과거 수준으로 돌아간 측면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우려할 수준은 아니지만 지난해부터 금리 인상과 경기둔화, 부동산시장 침체 등 영향으로 당분간 연체율의 오름세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9월말부터 코로나19 상환유예 여신의 상환이 시작되면 연체율 상승 압력은 커질 수 있다.

그럼에도 최근 금융권이 연체채권 매각·상각을 통한 여신 사후관리 등을 강화하고 있고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등을 통해 손실 흡수능력을 제고하고 있어 금융시스템의 안전성을 위협할 정도의 심각한 상황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코로나19 금융지원 종료 영향도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 3월 말 상환유예 여신의 규모는 6조6000억원으로 규모가 크지 않고 대부분 은행에서 80% 이상 취급돼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부동산 PF 연체율이 더 문제

이날 진행된 회의와 관련해 이준수 부원장은 가계대출보다 부동산PF(프로젝트 파이낸싱)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부원장은 "연체율은 가계대출보다 부동산PF 대출, 상가 담보대출 등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며 "부동산PF 같은 경우 부동산 시장 연착륙이 가시화돼야 해소가 가능하지만 당장은 이런 이슈가 해소되기는 쉽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연체율은 낮으나 상승 폭이 빠르다는 지적에 대해선 "제도적인 요인으로 대위 지급 지연과 시장가와의 차이에 따른 캠코 부실채권 매각 지연 등이 있다"며 "신규 연체를 분석하고 있는데, 일시적 요인 등이 해소되면 상승 폭은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지금 부동산 시장 상황이나 단기적 요인들이 빠른 시일 내에 호전되기는 쉽지 않아 내년까지 연체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라며 "기저효과와 단기적 요인 등의 영향이 있지만 심각한 상황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