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금융시장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회의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등 주요 불확실성이 해소됐지만, 이에 따른 경제 침체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한은이 이달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인 가운데 깜짝 조기 인하가 이뤄질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한국은행은 오는 17일 금통위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향방을 결정한다. 현재 기준금리는 연 2.75%로 가장 최근 변동은 금통위가 지난 2월 기존 3%에서 0.25%포인트 인하한 것이다. 이에 금융권에서는 5월 이후에나 추가 인하가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최근 가계부채 증가세가 꺾이긴 했지만, 서울을 중심으로 집값이 상승하는 등 언제든지 가계부채가 급증할 요인이 있어서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3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액은 4000억원으로 전월(4조2000억원)보다 대폭 줄었다. 다만 2월 토지거래허가제 완화에 따른 부동산 거래 증가는 이번 통계에 반영되지 않았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지난 9일 '4월 금융시장 브리프'에서 "국내경기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서울 주택가격 강세, 가계대출 증가세 등을 감안하여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동결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고환율 또한 문제다. 한은은 최근 고환율에 따른 경기 방어를 근거로 금리인하를 결정하는 모습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1월 기준금리 동결 이유로 '고환율 리스크'를 꼽았고, 2월 들어 원·달러 환율이 1420원대로 안정되자 금리를 인하했다.
최근 환율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와 헌법재판소의 윤 전 대통령 탄핵 인용 이후 널뛰는 모습이다. 탄핵 인용 발표 후 잠시 하락했던 환율은 이튿날 1470원대까지 치솟았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환율이 1480원 연고점까지 간 상황에서 환율 변동성과 가계부채 등을 고려하면 금통위가 이를 반영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며 "4월 동결 만장일치 가능성도 보고 있다"고 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금통위가 선제적인 금리인하에 나설 가능성을 제기한다. 해외 투자은행(IB) JP모건은 최근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9%에서 0.7%로 조정한 바 있다. 1%가 채 되지 않는 성장률 전망치에 경제 방어 요구가 커지는 상황이다.
김명실 iM증권 연구원은 "한은의 금리정책 변화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변수는 환율 안정"이라면서도 "관세정책 혼란 등으로 킹달러의 위상이 예전 같지 않고, 고환율에 대한 한은의 민감도는 이전 대비 낮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 방어의 시급성을 고려한다면 4월 조기인하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