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이 기내 화재 사고를 막기 위해 보조배터리 관리 규정을 강화한다.
이번 조치는 지난달 김해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여객기 화재 사고 이후 마련된 것으로, 에어부산은 보조배터리 관리 강화를 통해 기내 화재 위험을 줄이고 승객 안전을 지키겠다는 방침이다.
4일 에어부산은 기내 화재 위험 최소화 정책을 발표했다. 오는 7일부터 일부 노선에서 먼저 시행한 뒤 점차 모든 노선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앞으로 에어부산 탑승객은 탑승 전에 보조배터리를 갖고 있는지 확인을 받아야 한다. 공항 탑승구에서 직원이 수하물 안에 배터리가 있는지 물어보고, 배터리가 없는 가방에는 스티커나 태그를 붙인다. 기내에서는 스티커가 붙은 수하물만 선반에 올릴 수 있으며 표식이 없는 가방이 선반에 놓이면 승무원이 직접 확인한다. 보조배터리를 지닌 승객은 반드시 개인이 소지해야 한다.
에어부산은 이 같은 내용을 승객에게 충분히 알리기 위해 예약, 발권, 탑승 수속 과정에서 관련 규정 동의 절차를 추가했다. 또한 출발 하루 전에는 문자로 별도 안내를 보내고, 기내에서도 안내 방송 횟수를 기존 2회에서 3회로 늘린다.
또 기내 화재가 발생했을 때 신속한 대응을 위해 승무원 훈련도 강화한다. 화재진압 교육 영상을 제작해 전 승무원이 즉시 교육을 받고, 실제 화재 상황을 가정한 훈련도 진행한다. 아울러 소방본부 등 전문 기관과 협력해 보다 체계적인 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화재를 막기 위한 장비도 추가된다. 에어부산은 기내에 리튬배터리 화재 격리 장비를 비치하고, 승무원이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방화 장갑도 새롭게 구비한다.
정병섭 에어부산 대표는 "기내 화재에 대한 손님들의 우려와 불안을 해소하고 안전한 여행 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에어부산이 선제적으로 강화 정책을 수립했다"며 "사내 종사자들의 안전의식 고취와 역량 강화를 비롯해 항공 안전 문화 확산을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