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부동산원 "낙폭감소" vs KB "확대"…혼란키우는 집값 통계

  • 2023.02.20(월) 06:30

한국부동산원 '낙폭 감소', KB부동산 '낙폭 확대'
원희룡 "조사 방법 달라, 가격 차 자연스러워"
정책 판단·신뢰 실추하고 시장 혼란 커질 수

"일정 부분 가격 차이가 나는 것은 오히려 자연스러운 것"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최근 국회에서 한 말입니다. 한국부동산원과 KB부동산이 제공하는 부동산 통계 격차가 많이 난다는 지적에 대한 답이었습니다. 부동산원은 실거래가를, KB부동산은 공인중개사를 조사하기 때문에 그 결과에 차이가 있다고도 덧붙였습니다.

두 통계를 바라보는 수요자들은 혼란스럽습니다. 같은 시점에 하나의 현상을 두고 다른 결과(통계)가 나오는 상황이니까요.

통계 간 차이가 계속되면 어느 통계를 믿어야 할지 의심의 눈길을 보낼 수밖에 없습니다. 부동산 통계는 대출 기준이 되는 등 민생과 맞닿은 만큼 통계 간 괴리를 줄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꾸준합니다.

2023년 아파트 매매가격 증감률 / 그래픽=비즈워치

한국부동산원, KB부동산 차이점은?

국내에서 주로 활용되는 부동산 통계는 한국부동산원과 KB부동산의 통계입니다. 공공 통계는 부동산원, 민간 통계는 KB부동산이 각각 대표하는 셈입니다.

한국부동산원은 정부 소속 공공기관으로 국가승인 통계인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를 발표합니다. 주택시장의 가격변화를 측정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 참고자료로 사용되는 통계입니다.

가격 조사는 실거래 사례를 기반으로 하며 중개업소의 의견도 참고합니다. 아파트 가격 동향은 일주일, 이외 단독·연립주택은 1개월 기준으로 조사합니다. 현재 월간 4만7300가구, 주간 3만2900가구를 표본으로 삼고 있습니다.

KB부동산은 민간기업인 KB국민은행이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부동산원과 마찬가지로 아파트는 일주일, 단독·연립주택은 1개월 기준으로 가격 동향을 발표합니다.

실거래가를 최우선으로 하되, 참고할만한 거래가 없으면 중개업소가 직접 가격을 입력합니다. 이후 지역 담당자가 검증 후 가격을 확정하는 방식입니다. 표본 수는 월간 6만7720가구, 주간 6만220가구로 부동산원보다 많습니다.

/사진=이명근 기자 qwe123@

헷갈리는 통계…대출금액도 달라져

두 곳 모두 실거래가를 1순위에 두고 조사하긴 하지만, 세부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상반된 수치를 보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원은 올해 1월 한 달간 아파트 매매가격이 매주 하락 폭을 줄였다고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KB부동산은 2주간 보합을 보이다 셋째, 넷째 주에는 오히려 낙폭을 키웠다고 봤습니다.

'하락'이라는 큰 흐름은 같았지만, 뜯어 보면 조금씩 차이를 보인 겁니다. 이렇다 보니 통계를 받아들이는 수요자들은 시장이 회복세에 접어들고 있는 건지, 아니면 아직 바닥까지는 오지 않은 건지 헷갈립니다.

주택 구매를 앞뒀다면 고민이 더 깊어집니다. 어느 기관의 시세를 적용하느냐에 따라 대출 가능 금액이 달라집니다. 17일 기준 서울 마포구 상암월드컵파크10단지 전용 84㎡의 한국부동산원 시세는 평균 10억5500만원, KB시세는 9억5000만원입니다. 보통 KB시세를 우선 적용하기 때문에 한 푼이라도 더 융통해야 하는 수요자는 아쉬울 수 있습니다.

통계 간 차이가 크면 정책의 신뢰도에도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과거 문재인 정부는 집값이 크게 오르지 않았다는 부동산원의 통계를 인용해 정책을 설계했는데, 현실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2021년 1월 기준, 민간이 측정한 수도권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공공보다 약 7000만원 높았습니다. 이런 통계를 기준으로 하다 보니 당시 발표했던 부동산 대책에 대한 반감도 더욱 컸습니다.

급기야 서울시는 직접 통계를 공표하겠다고 나섰습니다. 실거래가를 기반으로 하는 '서울형 주택실거래가격지수'를 개발한 겁니다. 좀더 정확한 통계를 통해 시민의 불안을 줄이겠다는 목표입니다.

서울시 관계자는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하는 시세는 조사원의 주관적 평가가 반영될 소지가 있어 정확하게 시장 상항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최근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서 시민의 불안이 높아져 실제 거래에 활용할 수 있는 정확한 데이터가 필요했다"고 밝혔습니다.

결국 통계의 신뢰도를 올리는 게 최선입니다.

통계를 내는 데 활용한 자료와 정책 판단의 근거 등을 시민들이 검증할 수 있도록 공개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관계자는 "통계 왜곡이 개선되지 않으면 부동산 정책 또한 옳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어렵다"며 "부동산 통계와 관련된 근거와 자료들을 모두 투명하게 공개해 검증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