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고령층을 위한 요양 서비스와 요양 시설 등의 수요도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보험사들이 요양 사업에 나서면서 요양 시설에 입소할 고령층을 모집하고 있는데요.
보험사가 운영하는 요양 시설에 들어가려면 해당 보험사의 보험에 가입해야 할까요. 보험사 요양 사업을 들여다보겠습니다.
![](https://cdn.bizwatch.co.kr/news/photo/2023/03/03/f22a201bda8e72b519171bb434e0f3db.jpg)
스타트 끊은 KB라이프…신한·삼성도 문 열 듯
KB라이프의 요양시설 운영을 전문으로 하는 자회사 KB골든라이프케어가 최근 프리미엄 요양시설 '광교 빌리지' 입소 신청 접수를 시작했습니다. 오는 8월 수원 광교신도시에 개소할 예정인 이 시설은 정원 180명 규모로 운영되는데요.
프리미엄 요양 서비스와 KB국민은행을 비롯한 KB금융의 종합 금융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
KB골든라이프케어는 앞서 2017년 서울 강동구에 '강동 케어센터'(주·야간 보호시설) 개소를 시작으로 2019년 '위례 빌리지'와 2021년 '서초 빌리지' 등 도심형 노인 오양시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서울 종로구 평창동에 노인 복지주택인 '평창 카운티'를 선보이는 등 요양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KB골든라이프케어 관계자는 "올해는 은평과 광교, 강동 지역에 요양시설 3개소를 차례로 신설할 계획"이라며 "요양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설명합니다.
KB라이프 외에도 신한라이프와 삼성생명 등의 보험사들도 요양 사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집니다.
신한라이프의 경우 2021년 '시니어사업 TF'를 만들어 국내외 시장 조사와 사업성 검토를 시작했고, 지난해 1월 시니어 사업 전담 자회사 '신한라이프케어'를 출범했습니다. 그해 11월 첫 장기요양시설인 분당 데이케어센터를 열었는데요. 50여명 규모로 주간만 운영하는 시설입니다.
현재 경기 하남과 서울 은평구에 시설 건립부지를 확보하고 올 하반기 하남 미사에 첫 번째 요양시설 개소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60~70명 규모로 도심형 요양시설입니다. 신한라이프는 2028년까지 매년 한 곳 이상의 시설을 오픈해 운영한다는 계획입니다.
보험사들이 운영하는 요양시설이라 혹시 해당 보험사 상품에 가입해야만 입소할 수 있는지 등 자격 요건 확인이 필요할텐데요. 보험 상품 가입에 상관없이 요양시설 입소 대상인 1~2등급이면 누구나 입소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https://cdn.bizwatch.co.kr/news/photo/2025/01/31/e7491876d1879ff9aac92d1c5426cc56.jpg)
보험 대신 요양사업…이유는
요양 사업에 적극 나서는 곳은 생명보험 업계입니다. 손해보험사들이 새 회계제도(IFRS17) 도입 후 계약서비스마진(CSM) 확대를 위해 다양한 보장형 상품을 개발하는 것과 달리 생보사들은 활동 영역의 폭이 제한적인 상황인데요.
보험업계 전반적으로 고량층 자산관리와 상속·증여, 건강관리와 요양 등 다양한 수요 증가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면서 성장이 정체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금융당국이 지난 2022년 빅테크 기업의 보험업 진출에 따라 금융사들의 부수업무와 자회사 출자범위 확대를 통해 보험산업에 새로운 시장을 개방했는데요. 금융지주 계열 보험사들이 요양시설 운영 등 시니어 사업을 전담하는 자회사를 설립한 것 금융당국의 규제 완화를 활용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현재 요양보호사의 방문 서비스는 주로 주간 시간대만 제공되고 야간 요양 서비스는 시설에 입소한 수급자만 제공받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에 보험사의 설계사 조직과 교육 경험을 토대로 통합재가 방문서비스 공급을 고려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는데요. 노후를 대비한 보험상품 뿐 아니라 보험사들의 장점을 살려 요양사업을 다양화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정부 입장에서도 요양수요 확대에 대응하려면 공급체계 다변화와 민간 돌봄서비스 활성화 등이 필요한데요. 2035년이면 고령 돌봄수요는 지금보다 두 배 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공급 규제로 민간 역할이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김석영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보험사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수요 변화에 맞춰 신사업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며 "정부는 요양수요 확대를 위해 민간과 공공 역할의 조화 등 규제와 시장의 합리적인 균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는데요.
보험사들의 요양 사업이 인구 고령화 시대 어떤 역할을 할지 한 번 지켜볼까요.
[보푸라기]는 알쏭달쏭 어려운 보험 용어나 보험 상품의 구조처럼 기사를 읽다가 보풀처럼 솟아오르는 궁금증 해소를 위해 마련한 코너입니다. 알아두면 쓸모 있을 궁금했던 보험의 이모저모를 쉽게 풀어드립니다. [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