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경제팀이 진용을 갖춰가면서 차기 금융위원장과 금융감독원장 인선에 이목이 쏠린다. 금융위와 금감원을 합친 금융감독위원회 부활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과거처럼 금감위원장이 금감원장을 겸임하고 금융위는 기능이 쪼개지며 폐지되는 시나리오가 힘을 얻고 있다.
금융권에선 민주당 내 경제통으로 불리는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유력 금감원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다만 홍 최고위원은 국정기획위원회 경제1분과 위원으로 금융당국체계개편에 관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해충돌 논란 또한 제기된다.

2일 정치 및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지난달 말부터 신임 원장에게 보고할 업무자료 준비에 본격착수했다. 새 금감원장 인선이 임박했다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며 내부적으로 조직 현안과 주요 정책 과제를 정리하고 각 부서별 보고자료를 마련하는 등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기획재정부 장관에 구윤철 전 국무조정실장을 지명하는 등 6개부처 장관과 2개 수석비서관에 대한 인선을 발표했다. 19개 정부부처 중 국토교통부와 문화체육관광부를 제외한 17개 부처 장관 인선이 마침표를 찍었다.
다만 금융정책을 총괄하는 금융위원장과 금감원장 등 인선은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재명 정부가 추진 중인 금융감독체계 개편의 구체적인 방향이 아직 드러나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새 정부 인수위원회 역할을 맡은 국정기획위원회의 정책 해설서인 '대한민국 진짜 성장을 위한 전략'에서는 금융위 금융산업 정책 기능을 분리해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과거의 금융감독위원회 부활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금융위·금감원·한국거래소 등에 흩어진 불공정거래 조사·심의·제재 기능을 통합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유사한 통합감독기구를 신설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금감원 산하 금융소비자보호처를 금융소비자보호원으로 격상·독립시키는 안도 함께 들여다보고 있다.▷관련기사 : 새 정부, 금감원 둘로 쪼갠다…금융사 '전전긍긍'(6월10일)
금융권에선 홍 최고위원이 유력 금감원장 후보로 거론된다. 이 경우 조직개편과 맞물리며 금감위원장을 겸임할 가능성도 또한 제기된다. 홍 최고위원은 증권사 평사원으로 시작해 최고경영자(CEO)까지 오른 증권 전문가 출신으로 21대 민주당 국회의원이었다. 22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그는 민주당 국가경제자문회의 의장을 맡았고 올해 2월에는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임명됐다. 대선 기간에는 공동선대위원장으로 이 대통령을 도왔다. 현재는 국정위 경제1분과 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이 대통령이 '코스피 5000' 시대를 목표로 내세운 만큼 자본시장에서 풍부한 경험을 갖춘 홍 최고위원이 중책을 맡을 것이란 관측이다. 다만 홍 최고위원이 새 금감원 수장으로 직행하는 데 대한 반론도 적지않다. 금융감독기관 수장에 금융감독체계 개편 로드맵을 설계한 인사가 곧 바로 내려앉는 구도가 이해충돌 논란을 일으킬 소지가 있어 부적절한 것 아니냐는 쓴소리다. 애초에 개편안이 특정인사를 위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될 여지도 있다.
대선 직후 사의를 표명한 김병환 현 금융위원장의 거취에 대해선 당분간 유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교체가 수순이지만 금융감독체계 개편 등의 변수들이 있어 기존 수장이 자리를 지키며 연착륙을 이끌고 이후 새 금감위원장에게 자연스럽게 바통을 넘기는 시나리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