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3/01/03/b5e95723138d6a954c6bd4a7787911a3.jpg)
카카오가 5일 '전국민 마음 패키지'라는 이름으로 이용자 4800만명을 대상으로 이모티콘 3종을 지급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10월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발생한 서비스 장애에 대한 보상이다. 카카오는 또 카카오메이커스 쿠폰 2종과 100기가바이트(GB) 용량의 톡서랍 플러스 1개월 이용권을 제공한다. 톡서랍 플러스는 카카오톡이 서비스 중인 백업·클라우드 서비스다.
보상 패키지는 카카오톡 '더보기' 탭 내 '카카오 나우'에서 받을 수 있다. 카카오는 이날 사고경위, 원인, 재발방지 대책 등을 담은 '다짐 보고서'도 공개했다. 카카오는 "다시는 모두의 대화가 멈추는 일이 없도록, 국민 모두가 언제나 믿을 수 있는 단단한 소통 플랫폼이 되겠다"고 약속했다.
다만 보상대상에서 해외 이용자는 빠져 아쉬움을 남겼다. 해외번호로 카카오톡을 등록한 이용자가 보상패키지를 받으려고 하면 "해외번호 사용자는 이용이 어렵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라는 안내 문구가 떴다.
![](http://cdn.bizwatch.co.kr/news/photo/2023/01/05/21ec6b650231d4ee111aa370f639fe3e.jpg)
아일랜드에 거주하고 있는 김다영 씨는 "사고 당시 카카오톡의 별다른 고지는 없었고 '먹통' 현상을 한인 친구를 통해 알게 됐다"며 "해외에서도 피해를 겪었는데 보상해주지 않는 건 재외국민에 대한 차별로 느껴진다"고 했다.
해외에서 카카오톡을 이용해 사업하는 소상공인들의 피해도 돌봐야한다는 지직도 나왔다. 미국에 거주하는 김수민 씨는 "한인 중에 현지 번호로 카카오톡에 가입한 뒤 이를 사업용으로 쓰시는 분이 꽤 많다"며 "외국에 있는 한인 사업자에 대한 보상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마음 패키지는 카카오톡뿐만 아니라 카카오맵·페이 등의 장애로 일상 생활에 불편함을 겪은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지급한다"며 "이 점 양해 부탁드린다"고 했다.
카카오가 발표한 보상안 중 톡서랍 플러스 부분도 논란이 됐다. 선착순 등록과 자동결제 때문이다. 톡서랍 플러스 1개월 이용권은 선착순 300만명에게 제공된다. 사실상 모든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또 1개월 이용기간이 끝난 뒤에는 이용권이 유료로 자동 갱신될 수 있다.
카카오 관계자는 "클라우드 방식의 서비스다 보니 전 국민 대상으로 하기엔 네트워크 부하가 올 수 있다"며 "신청자가 더 많아질 경우 300만명에서 더 늘릴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톡서랍 플러스는 정기구독 결제 서비스다보니 결제 방식 등록이 필요하다"며 "자동 결제 일주일 전에 자동 결제를 미리 알려주는 '톡'을 보내줄 예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