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코로나 금융지원 또 연장? 은행권 한숨 속 '예의주시'

  • 2022.09.21(수) 10:36

확정 아니라지만…리스크 확대 걱정 커져
은행권, 새출발기금 연계 연착륙 프로그램 마련

이달 말 종료될 예정이던 원리금 상환유예‧만기연장 등 코로나 금융지원 조치가 또 다시 불확실성에 휩싸였다. 금융당국이 상환유예와 만기연장 기간 추가 연장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까닭이다.

각 은행들은 이미 취약 차주들의 금융지원 종료에도 연착륙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만들어 대비하고 있었다. 하지만 금융지원 종료 시점이 연장되면 새출발기금 시행 여부와 상환 유예 후 금리 인상이 더해진다는 점에서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은행권 "코로나 리스크 관리 필요"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 향후 운영방안을 관계부처 및 금융권과 협의하고 있다. 당초 이달 말 종료 예정이었지만 정책지원을 받지 못하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을 중심으로 종료 시점을 추가로 연장해달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까닭이다. 

특히 코로나19 금융지원은 매출액이 감소하는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이 대상이었다. 이들은 사실 상 대출이 불가능한데 코로나19라는 특수성을 감안, 정부를 대신해 은행들이 금융지원을 펼쳤다. 올 1월 기준 코로나19 금융지원(만기연장·상환유예 등)을 받은 대출 잔액은 116조원이 넘는다.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이 지속되는 기간 리스크 확대 우려에도 이미 네 차례 원리금 상환없이 만기연장과 상환유예 종료지원 종료 시점을 미룬 바 있다. 차주들의 원리금 상환 여력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판단에서다.

이 같은 상황에서 올 들어 물가 상승 압력에 따른 기준금리 인상으로 금융지원 종료 시 차주들의 상환 부담은 더욱 커진 상태다. 이는 대출을 실행한 은행들의 리스크 확대로 이어진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코로나 금융지원을 받은 차주들은 원래 대출 받기 어려웠던 상황이라 은행에게는 잠재적인 리스크"라며 "유예 연장 반복으로 리스크는 해소되지 않은 채 이연됐고, 그 가운데 금리도 오르면서 리스크는 더 커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은행권에서 상환유예 종료를 원하는 것은 이자도 내지 못하는 취약 차주에 대해 지금처럼 재무 건전성이 좋을 때 손실 처리 등을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며 "지원 종료 시점이 또 다시 연장되면 부담이 확대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자체 연착륙 방안 만들었지만…

은행들은 코로나 금융지원 종료와 정부의 새출발기금 시행을 염두에 두고 자체적으로 차주들의 연착륙 방안을 준비해둔 상태였다. KB국민은행은 코로나19 기업여신 특례운용 지원을 받은 계좌를 대상으로 만기연장과 상환유예 등 대출을 최장 10년 분할해 상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래픽=김용민 기자 kym5380@

신한은행도 분할상환 기간과 유예이자 납부 기간, 거치기간 확대 등을 통해 차주 부담을 줄이고 있다. 가령 분할상환 기간 확대의 경우 1년6개월 상환유예 한 분할상환금에 대해서 3배인 4년6개월 동안 분할상환으로 전환해 분할상환금이 3분의1로 줄어들게 된다.

하나은행은 유예종료 후 기존 월 상환금을 선택해 상환할 수 있도록 하거나 만기까지 잔여기간에 나눠 분할상환 하는 등의 방안을 시행 중이다. 우리은행은 개인사업자대출 119프로그램에 더해 저신용 성실상환자에 대해선 원금감면 제도도 운영하고 있다.

NH농협은행과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에 주력하는 IBK기업은행도 내부적으로 연착륙 프로그램을 만들어 지원을 준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코로나 금융지원이 종료 시점이 아예 연기되면 이 같은 대비책도 무용지물이 될 처지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정부의 금융지원 중단을 대비해 다양한 상환 방법을 만들고 고객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해 차주 부담을 최소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일단 코로나 금융지원 종료 여부가 확실하지 않은 만큼 금융당국 결정을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