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우리은행장으로 정진완 우리은행 중소기업그룹 부행장이 내정됐다. 우리금융지주가 어수선한 조직을 쇄신하면서도 은행 경영의 연속성을 가져가기 위한 판단을 했다는 평가다.
우리금융지주는 29일 자회사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열고 차기 우리은행장 후보로 정진완 부행장을 추천했다고 밝혔다.
정진완 후보는 1968년생으로 포항제철고, 경북대 법학과를 졸업한 이후 1995년 한일은행에 입행하며 우리은행과의 인연을 시작했다.
이후 종로3가 지점장, 중소기업전략부장, 삼성동금융센터장, 테헤란로금융센터 본부장, 본점영업부 본부장을 거쳐 중소기업그룹 부행장을 역임중이다.
그의 이력에서 알 수 있듯 그는 기업금융의 전문가로 꼽힌다. 우리은행이 '기업금융의 명가 재건' 이라는 목표를 삼고 있는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그의 이러한 전문성이 은행장으로 선임되는데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상대적으로 젊은 그를 선임해 조직을 쇄신하겠다는 의지도 담긴 것으로 분석된다. 그는 1968년생으로 이번에 후보군에 이름을 올렸던 인사들 중 가장 젊다. 주요 은행 전체로 넓혀봐도 그는 젊은 편이다. 이와 관련 정상혁 신한은행장은 1964년생, 이승열 하나은행장은 1963년생, 이석용 농협은행장은 1965년생이며 차기 국민은행장인 이환주 후보는 1964년생이다.
자추위는 "현직 주요 경영진으로서 경영 연속성을 확보하고 조직 쇄신을 위한 젊은 세대교체형 은행장 선임에 방점을 두고 후보군 적임자를 찾았다"라며 "기업문화 혁신 등 조직 쇄신과 기업금융 중심 영업전략을 추진할 수 있는 최고 적임자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차기 은행장 후보로 이름을 올린 정 후보 역시 은행의 신뢰회복을 목표로 기업문화를 전면 개선하는 것을 우선 과제로 삼겠다는 방침이다.
정 후보느 "최근 일련의 금융사고로 실추된 은행 신뢰회복을 위해 내부통제 전면적 혁신과 기업문화의 재정비에 우선 목표를 둘 것"이라며 "혁신형 조직개편, 성과중심의 인사쇄신을 통해 우리은행만의 핵심 경쟁력을 제고해 신뢰받는 은행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진완 은행장 후보는 12월 중 은행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해 자격 요건 및 적합성을 검증받은 후 주주총회에서 공식 선임돼 내년 1월부터 은행장으로서 2년 임기의 공식업무를 시작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