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2017 마켓 키워드]⑤꽃피는 인프라 시대

  • 2016.12.21(수) 10:39

트럼프 美인프라 투자 확대 공약 관심
이머징 아시아도 재정정책 확대 예상

내년 가장 명확한 투자 키워드 중 하나를 꼽으라면 단연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다. 인프라 투자 테마는 오랫동안 꾸준히 이어졌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인프라 투자를 재정정책 확대를 위한 주요 수단으로 내걸면서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뿐 아니라 이머징 등 다른 국가들도 경기부양을 통화정책에서 재정정책으로 확대하면서 내년에는 본격적인 인프라 시대가 꽃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화끈한 트럼프 촉매

 

내년에 인프라 투자가 주목받는 이유는 트럼프 하나로도 충분하다. 트럼프는 향후 10년간 1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에 나서겠다고 밝혔고 당선이 확정된 후 시장은 줄곧 이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 같은 선진국이 웬 인프라투자냐 싶지만 미국의 인프라는 생각보다 더 낙후돼 있다. 전문가들의 분석에 따르면 미국의 주요 인프라 시설의 노후년수는 평균 27년에 달하고 있고 이는 고스란히 경제 활동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당위성에 더해 트럼프는 일자리 창출 등 경기 수단으로 인프라 투자를 추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아직 인프라 정책 내용이 구체화되지 않았지만 취임 초기인 내년부터 인프라 투자 확대가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임은 분명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미국의 인프라 투자 확대 기대감을 반영해 미국의 성장률 전망 상향에 나섰고 유로존(1.6%)을 크게 웃도는 2.3%로 전망했다. 내년 하반기에는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0.25~0.5%에 해당하는 경기 부양책이 기대되고 있다.

 

◇ 신흥 亞 중심 투자 확대일로

 

미국 외에도 이머징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경제 전반의 인프라 투자는 내년에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돼 왔다. 한동안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통화완화 위주로 정책을 집행해온 국가들은 저성장 탈피를 위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인프라 투자에 주목하고 있다.

 

올해 주요 20개국(G20) 회의에서도 각국 정상들은 재정지출 확대에 대한 공감대를 표명했고 인프라 투자에 적극 참여하기로 했다. 이미 중국을 필두로 한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이 지난해 출범한 상태로 유럽과 캐나다 등 북미국가도 가세하며 내년에도 글로벌 인프라 동맹이 활발하게 진행될 전망이다. 유럽 역시 3000억 유로가 넘는 유럽판 뉴딜정책인 융커 플랜이 발족됐다.

 

특히 더 주목받는 곳은 신흥 아시아 지역으로 올해 역시 국내총생산(GDP) 대비 투자 비중이 40%에 육박했고, 내년에도 인도와 인도네시아 등을 중심으로 투자가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아시아 인프라투자의 연평균 성장률은 세계 평균(3.7%)보다 높은 4.5%에 달한다"며 "우리 기업 입장에서는 매년 1000억달러의 시장이 창출되고 인프라투자 펀드에는 새롭게 투자대상이 생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기회와 위험 모두 따져야

 

인프라 투자가 활성화되면 자연스럽게 관련 수혜주가 부각되기 마련이다. 인프라 시설 건설의 제반 역할을 하는 원자재 가격 등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미국의 경우 셰일혁명 이후 원유와 가스 채굴이 증가하면서 부족해진 파이프라인 인프라 건설이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전체 인프라 가운데 가장 낙후된 것으로 꼽히는 운송과 교통 인프라 확충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미국내 인프라에 집중해서 본다면 교통과 건설, 에너지, 물 인프라가 부각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나금융투자는 국내 중소형주 업체들 중에서는 미국 중장비업체의 밴더사 및 건설 소모품 공급회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다만 인프라 투자 재원 확보를 위해 정부채 발행이 불가피하고 재정악화 가능성
등 반작용 여파도 주시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트럼프 캠프는 인프라 투자를 위해 국채발행뿐 아니라 민간을 통해서도 필요한 자금을 충당하겠다고 밝힌 상태로 민간자금 조달이 수월한 분야에 투자가 치우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아직까지 정책이 구체화되지 않은 만큼 1월 취임 이후 인프라 정책 구체화에 대한 관심이 집중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