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이수근 대리운전'도 넘어갔다…카카오 무한확장

  • 2021.08.03(화) 15:48

카카오-코리아드라이브 합작사 설립
'1577 대리운전' 서비스 이관해 운영
코로나로 시장 얼어붙자 대기업 진출

카카오의 모빌리티 계열사가 '앞뒤가 똑같은 전화번호' 광고로 유명한 대리운전 업체와 합작법인을 만들고 이 시장에 진출한다. 

그동안 중소업체들이 주도해온 대리운전 시장이 코로나 여파로 얼어붙으면서 카카오 같은 대기업의 공세가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대리운전 업계에선 막강한 플랫폼 기술과 자본으로 무장한 대기업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될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다. 

그래픽=유상연 기자 prtsy201@

3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모빌리티는 자회사 CMNP를 통해 코리아드라이브와 지난달 합작사 케이드라이브를 세웠다. 합작법인은 전화콜 1577 서비스를 '카카오T' 플랫폼에 넣을 예정이다. 

코리아드라이브는 '이수근의 대리운전' 등으로 유명한 1577 대리운전 업체다. 전화콜 대리운전 업계 1위다. 그동안 일반사업자로 운영하다 1일부터 케이드라이브 법인사업자로 전환해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1577 서비스도 케이드라이브에 이관했다. 

이로써 카카오모빌리티는 코리아드라이브를 통해 전화콜 호출 시장에 진출하게 됐다. 카카오모빌리티는 2016년에 앱 기반의 대리운전 호출 '카카오드라이버'를 선보이긴 했으나 서비스 특성상 전화콜에 비해 영향력이 그다지 크지 않다.

실제로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대리운전 시장에서 전화콜 방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80%에 달한다. 전화콜 방식은 3000개 이상 중소업체들이 주도하고 있다. 

카카오가 대리운전 시장에 뛰어드는 것은 수수료라는 뚜렷한 수익원이 있기 때문이다. 대리운전 업체들은 운전자로부터 15~20%의 운행 수수료를 받고 있다. 지난해 대리운전 시장 규모는 3조원에 육박한 2조7672억원으로 적지 않은 수준이다. 

카카오모빌리티 외에도 SK텔레콤의 티맵모빌리티가 지난달 중순 '티맵 안심대리'란 앱 방식의 서비스를 시작했다. 반면 지난해 10월 '타다 대리'를 선보인 쏘카 자회사 VCNC는 최근 대리운전 서비스를 종료했다.

모빌리티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 이 분야 '맞수' SK텔레콤과 카카오가 나란히 대리운전 시장에 뛰어든 셈이다. 

그래픽=유상연 기자 prtsy201@

마침 코로나 여파로 대리운전 시장이 얼어붙는 와중에 대기업들의 공세가 본격화하는 것이라 눈길을 끈다.

대리운전 중소업체들로 구성된 대리운전총연합회의 한 관계자는 "코리아드라이브가 처음부터 카카오와 협력하려 했다기보다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어쩔 수 없이 손을 잡은 것"이라며 "좋게 말해 윈윈(win win)이지 어떻게 보면 코로나 위기를 틈타 카카오가 시장 장악력을 키우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과거 카카오가 콜택시 시장에 진출했을 때에도 대부분 조합에 가입이 되어 있는 택시 시장 특성상 쉽게 카카오에 좌지우지될 수 없을 것으로 봤었다"라며 "그러나 현재 택시 시장이 카카오에 끌려 다니는 상황인데 대리운전 시장은 훨씬 더 쉽게 장악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리운전 업계에선 카카오택시를 기반으로 강력한 모빌리티 플랫폼 서비스를 구축한 카카오의 시장 진출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 대리운전 업계 관계자는 "카카오가 현재 대리운전 시장에서 20% 가량을 점유하고 있는데 중소기업들이 대부분인 시장에서 단일 사업체가 20%를 차지한다는 건 굉장히 큰 의미를 갖는다"며 "더욱이 콜센터와 플랫폼, 기사관리를 통합 운영하는 유일한 업체인 만큼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더욱 클 것"이라고 말했다.

그도 그럴 것이 택시에서 출발한 카카오의 모빌리티 서비스는 대리운전을 비롯한 전방위 영역으로 무한 확산하고 있다.

카카오는 모빌리티 플랫폼 '카카오T'를 통해 택시와 대리운전 및 주차 등의 서비스를 선보였으며 여기에 자동 결제를 덧붙이면서 편의성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7월에는 전화기반 대리운전 배차 프로그램 업체 '콜마너'를 인수했고 8월에는 대리운전 프리미엄 서비스를 내놓기도 했다. 

혁신적인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새로운 이동 수단을 원하는 사용자 니즈를 만족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나 자칫 카카오로의 쏠림이 대리운전 종사자들의 생존권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대리운전 기사들로 구성된 전국대리기사협회의 한 관계자는 "업자들 간의 기득권 싸움이기 때문에 누구 편을 들 수는 없으나 기사 입장에선 독점적인 사업자가 나오는 것은 좋지 않다"며 "기사들에 대한 맞춤형 착취가 가능한 구조가 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