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교육·산업·재난대응에 5G 접목…적용현장·기업 늘린다

  • 2021.08.18(수) 14:00

글로벌 선도 위한 '5G+ 전략위원회' 개최
사회문제 해결에 역점, 5G 특화망 활성화

정부가 5세대(5G) 통신 서비스의 특성을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구현하는 비즈니스 융합 모델을 모든 산업 및 사회 분야에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5G 적용 현장을 현재 195개에서 2026년 3200개로, 전문기업은 94개에서 1800개로 확대키로 했다.

비대면 환경에서 학습격차를 해소하는 이른바 '스마트 스쿨'을 구축하는 등 5G를 활용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데 역점을 두기로 했다.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고 튼튼한 산업기반을 조성하면서 5G 서비스의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5G+ 융합서비스 확산 전략 체계도.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제5차 범부처 민·관 합동 전략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5G+ 융합서비스 확산' 전략을 발표했다.

'5G+ 융합 서비스'란 전 산업·사회 분야에서 5G의 특성(초고속·초저지연·초연결 등)을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구현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말한다.

정부는 5G+ 융합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해 선도 서비스를 발굴하고 민간의 확산을 유도하기로 했다. 융합 협력생태계를 구현하면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5G 관련 선도 서비스를 발굴하고 보급하면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역점을 두기로 했다.

예를 들어 비대면 환경에서의 학습격차 해소를 위해 스마트 스쿨을 구축하는 것이다. 5G를 기반으로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등을 접목해 실제 강의와 같은 교육 효과를 거둘 수 있다.

5G로 사업 현장의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다양한 센서를 활용해 작업장 내 위해 요소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상황을 즉각적으로 감지하는 현장 안전서비스 개발·실증한다.

5대 핵심 서비스(스마트공장·자율주행차·실감 콘텐츠·디지털 헬스케어·스마트시티)에 대해서는 범부처 협업 기반의 후속 지원을 통해 실증과 사업 간 단절을 극복하고 가시적 성과를 창출한다.

융합 서비스의 민간 확산을 유도하는 방안도 내놨다. 민간 중심의 한국형 5G 민관협력사업(PPP)의 구성·운영을 지원해 5G 확산의 구심체 역할을 수행키로 했다.

5G 특화망 활성화를 위해서는 연내에 차질 없이 주파수를 공급하고 관련 제도의 개선 검토 및 통신모듈 개발·시험 인증을 지원한다.

이외에도 융합생태계를 기반으로 다양한 전문기업이 출현·성장할 수 있도록 생애주기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책을 마련키로 했다.

정부는 이러한 전략을 통해 5G+ 융합 서비스를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5G+ 적용 현장은 현재 195개에서 2026년 3200개로, 5G+ 전문기업은 94개에서 1800개로 늘리는 것이 목표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격변하는 글로벌 경제 환경에서 5G는 국가경쟁력의 미래가 걸린 중요한 정책과제"라며 "정부는 세계를 선도하는 5G+ 융합서비스가 민간 중심으로 발굴·확산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