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정적 한끗]①칠성사이다는 '사이다'가 아니다

  • 2021.08.04(수) 07:00

'사이다'는 사과주…한국·일본만 탄산음료
1905년 일본에서 국내로 유입돼 큰 인기
국내 첫 사이다는 '별표'…1950년 '칠성' 생산

/ 그래픽=비즈니스워치

역사적인 사건에는 반드시 결정적인 순간이 있습니다. 그 순간 어떤 선택을 했느냐에 따라 역사책의 내용이 바뀌기도 합니다. '그때 다른 결정을 했다면 역사는 어떻게 바뀌었을지 모른다'는 말이 익숙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결정적인 순간은 꼭 역사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주변에서 흔하게 접하는 많은 제품에도 결정적인 '한 끗'이 있습니다. 그 절묘한 한 끗 차이로 어떤 제품은 스테디셀러가, 또 어떤 제품은 이름도 없이 사라집니다. 비즈니스워치에서는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제품들의 결정적 한 끗을 찾아보려 합니다. 결정적 한 끗 하나면 여러분들이 지금 접하고 계신 제품의 전부를, 성공 비밀을 알 수 있을 겁니다. 그럼 이제부터 저희와 함께 결정적 한 끗을 찾아보시겠습니까. [편집자]

사이다는 원래 '술'이다

우리에게 사이다는 '칠성사이다'입니다. 부정할 수 있는 분은 많지 않으실 겁니다. 물론 '킨사이다'도 있고 '스프라이트'도 있습니다. 아, '천연사이다'도 있네요. 이 제품을 찾는 분들도 계십니다. 그럼에도 대한민국 사람들에게 사이다 하면 단연코 '칠성사이다'입니다. 그 맛을 들인 지가 벌써 70년이 넘었습니다. 칠성사이다의 맛은 국내에 시판되는 모든 사이다의 기준이 됐습니다.

하지만 칠성사이다는 사이다가 아니라는 사실을 혹시 알고 계시나요? 무슨 소리냐고 하실 분들도 계실듯싶습니다. 사이다의 시작부터 말씀드리려는 겁니다. 사이다(cider)는 라틴어 'sícĕra'에서 나온 말입니다. 라틴어 사전을 찾아보면 sícĕra는 '(포도주 이외의) 알코올음료, 취하게 하는 음료 혹은 독주(毒酒)'를 의미합니다. 술입니다.

유럽과 미국 등에서는 사이다(cider)를 탄산음료로 생각지 않는다. 사과 발효주 혹은 사과주를 일컫는다.

sícĕra는 사과로 유명한 이탈리아 북부의 사과 발효술이 프랑스로 넘어가 'cidre'로 바뀐 겁니다. cidre는 '능금(사과)주'라는 뜻입니다. cidre는 다시 영국으로 건너가 'cider'가 됐죠. 그리고 영국의 전통주로 정착합니다. 사이다는 영국을 통해 전 세계로 뻗어나갔고 미국에서 대중화됩니다. 따라서 사이다는 '술'인 겁니다. 그렇다면 이 사이다는 어떻게 탄산음료가 됐을까요? 그걸 알기 위해선 먼저 일본으로 가야 합니다.

1868년 일본 요코하마 외국인 거류지에서 존 노스(Jonn North)와 레이(Ray)가 '노스 앤 레이 무역회사'를 설립합니다. 당시 노스 앤 레이에서는 외국인 거류지에 살고있는 외국인들을 위해 파인애플과 사과향을 곁들인 '샴페인 사이다'를 판매했습니다. 그런데 이 샴페인 사이다가 일본 상류층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얻습니다. 난생처음 맛본 탄산의 맛에 일본인들이 매료된 거죠. 

그러자 1899년 일본에서 왕관 모양 뚜껑을 사용한 병에 든 사이다가 일본 전역에 유통됩니다. 이 제품은 기존 샴페인 사이다와 달리 사과향만사용했습니다. 이름도 샴페인을 뺀 '사이다'로 썼습니다. 이때부터 사이다는 사과술이 아니라 탄산음료, 즉 '소다(soda)'로 인식되게 됩니다. 현재 사이다를 탄산음료로 통용하는 곳은 한국과 일본뿐입니다. 따라서 엄밀히 이야기하면 칠성사이다는 사이다가 아니라 소다인 겁니다.

우리나라의 첫 사이다는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첫 사이다는 언제, 어떻게 들어왔을까요? 사이다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1905년입니다. 히라야마 마쓰다로(平山松太郞)라는 일본 사람이 인천 신흥동 해광사 인근에 ‘인천 탄산수 제조소’를 만들면서 시작됐습니다. 당시 인천 탄산수 제조소에는 미국식 탄산수 제조기와 5마력짜리 발동기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때 처음 생산된 사이다가 '별표(星印慓) 사이다'였습니다.

당시 별표 사이다는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그러자 또 다른 일본인 나카야마 우노키치(中山宇之吉)가 1910년 '라무네 제조소'를 열고 '라이온'과 '헬스표' 사이다를 제조·판매하기 시작했죠. '라무네'는 '레모네이드'의 일본식 발음입니다, 일제 치하였던 만큼 일본을 통해 사이다가 유입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을 겁니다. 이 밖에도 일본에서 여러 종류의 사이다가 조선 땅에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경쟁이 치열했습니다.

경인합동음료의 '스타 사이다'는 국내 사이다 시장을 석권한다. 그러자 유사 제품이 난립하는 등 경인합동음료는 골머리를 앓는다. 당시 스타 사이다 유사품과 사기에 주의하라는 내용의 신문 광고를 대대적으로 게재하기도 했다. 스타 사이다가 얼마나 인기가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1948년 5월 23일자 동아일보) / 사진=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사이다의 인기가 치솟자 조선 곳곳에 사이다 공장들이 들어섰습니다. 1930년대에는 전국에 사이다 공장만 58개가 있었다고 전해집니다. 대부분 일본인들이 경영하던 곳이었습니다. 조선 사람이 운영했던 곳은 당시 경성에 '감천사'라는 곳이 유일했습니다. 그러다 1937년 감천사를 비롯해 인천 탄산수 제조소 등 8개 업체가 연합해 '경인합동음료주식회사'를 만들어 조선 최대 음료 업체로 발돋움합니다.

경인합동음료는 해방 후에도 일제 강점기 때 생산했던 '별표 사이다'를 생산했습니다. 그때는 제품명을 '스타 사이다'로 바꿨고 라벨 한가운데에 별을 박았죠. 스타 사이다는 당시 서울의 '서울 사이다'와 함께 해방 이후 우리나라의 사이다 시장을 양분했습니다. 이후 롯데칠성음료의 전신인 동방청량음료가 설립되기 전까지 말이죠.

'칠성 사이다'의 시작

국내 사이다 시장은 고속 성장했습니다. 하지만 앞서 설명드렸듯이 대부분 일본 기술로 만든 것이었죠. 그때 국산 사이다를 만들어보자는 생각을 가진 사람이 있었습니다. 빵과 음료수를 팔던 최금덕과 장계량입니다. 이들은 일본에서 청량음료학을 전공하고 평양에서 '금강사이다' 공장장을 하던 박운석을 만나 국산 사이다 개발에 착수합니다.

박운석은 청량음료 제조설비를 가지고 1947년 월남해  최금덕, 장계량, 정성면, 김명근, 우상대, 주동익 등과 동업, '동방청량음료합명회사'를 만듭니다. 이곳이 현재 롯데칠성음료의 전신이자 처음 '칠성사이다'를 만든 곳입니다. 여기서 '칠성(七星)'은 원래 7명의 각기 다른 성씨를 가진 사람들이 만나 만들었다고 해서 '칠성(七姓)'으로 하려다 '번영'을 상징하는 '별 성(星)'으로 바꿨다는 일화가 있습니다.

1950년대 첫 출시 당시의 '칠성사이다' / 사진제공=롯데칠성음료

당시 국내 사이다 시장은 앞서 말씀드린 스타 사이다가 장악하고 있었던 만큼 '별'을 트레이드 마크로 하는 것이 트렌드였을 수도 있습니다. 어쨌든 이렇게 모인 7명은 1950년 5월 마침내 칠성사이다를 출시합니다. 칠성사이다는 다른 제품들에 비해 품질이 뛰어났는데요. 당시 사이다에 사용된 지하수에 불순물 문제가 많았었던 반면, 칠성사이다는 정제에 공을 들였고 재료의 배합비율에 대한 노하우가 달랐다고 합니다.

칠성사이다는 세상에 나오자마자 시련을 겪습니다. 출시 한 달 만에 한국전쟁이 발발했습니다. 하지만 동방청량음료는 이를 기회로 삼았습니다. 경쟁사들이 전쟁으로 문을 닫을 때에도 꾸준히 제품을 생산, 마침내 스타 사이다를 제쳤습니다. 전쟁 후 음료수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칠성사이다는 급성장합니다. 이후 한미식품공업(1968년), 칠성한미음료(1973년)를 거쳐 1974년 롯데그룹에서 인수되죠.

참, 여담으로 한때 전성기를 구가했던 스타 사이다를 제조한 경인합동음료는 칠성사이다와의 결투에서 패배하고 1975년 진로에 매각됩니다. 진로는 국산 양주 시장의 성장에 발맞춰 믹스 음료 시장 진출을 위해 경인합동음료를 인수했죠. 그래서 내놓은 제품이 여러분이 잘 아시는, 지금은 하이트진로에서 생산하는 '토닉워터'입니다. 토닉워터에는 인천 탄산수 제조소에서 시작된 사이다의 역사가 녹아있는 셈입니다.

☞2편에 계속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