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이 최근 '2018 공공기관 혁신계획' 보고서를 발표했다. 산업은행은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한다. 대기업 경쟁력뿐 아니라 성장기업과 신성장산업 육성까지 한국경제의 마중물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빛이 나지 않는다. 성과는 정부 몫으로 돌아간다. '공'보다 '과'가 부각된다. 그럼에도 산업은행의 무게는 가볍지 않다. 스스로 혁신해야 하는 이유다. 산업은행 스스로가 설정한 혁신계획을 바탕으로 향후 가고자 하는 방향을 짚어본다. [편집자]
산업은행이 인도네시아 수도인 자카르타에 사무소 설치를 검토중이다. 혁신계획을 보면 산은은 자카르타 사무소 설치 등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충할 계획이다. 자카르타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장기 시설자금 등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2016년 산은은 인도네시아 정책금융기관 SMI(Sarana Multi Infrastruktur)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사무소 설치에 착수한 바 있다. 산은 관계자는 "현재 자카르타에는 주재원이 한명 있다"며 "자카르타 사무소를 설치하기 위해 현지 허가를 받는 등 준비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산은은 현재 9개 지점(광저우·베이징·상하이·선양·칭다오·뉴욕·런던·싱가폴·도쿄)과 5개 해외 법인(브라질·아일랜드·우즈베키스탄·유럽·홍콩), 8개 사무소(마닐라·모스크바·방콕·시드니·아부다비·양곤·프랑크푸르트·호치민)를 운영중이다. 자카르타는 9번째 산은 해외사무소가 되는 셈이다.
코트라(KOTRA)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한국은 인도네시아의 6번째 교역국가다. 올 상반기 교역규모는 98억4408만달러로 작년동기대비 12.8% 증가했다.
은행산업도 뜨고 있다. 올 상반기 인도네시아 상업은행의 순이자마진(NIM)은 5.11%로 한국은행 보다 3배 가량 높은 상황이다. 올해 국민은행과 기업은행이 인도네시아 은행 지분을 인수했고 하나은행과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도 현지에서 이미 영업중이다.
걸림돌도 있다. 국책은행인 산은이 추가 예산이 들어가는 해외사무소를 설치하기는 쉽지 않다. 한 국책은행 관계자는 "국내에서 지방에 지점이나 사무소를 낼 때도 그에 대한 예산을 추가로 배정받기는 쉽지 않고 정무적으로 고려해야할 요소가 많다"고 전했다.
다만 내년 정부가 산은에 6000억원을 출자할 예정이어서 자금운용에 여유가 생길 수 있다. 최근 금융위원회는 성장지원펀드 1000억원, 경영정상화 지원금 5000억원 등 총 6000억원을 '산은 출자금' 예산으로 편성했다. 이 예산안이 국회 '문턱'을 넘게 되면 해외사무소 설치는 한결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