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시총 1% 규모 증시안정 자금, 폭락장에서 위력은?

  • 2020.03.24(화) 15:59

10조 증안펀드 조성, 증시 안전판 역할
외국인 순매도 행렬 감안하면 충분치 않아
"과민반응 억제, 안정 관점에서 정책 효과"

"10조원 규모의 증안펀드는 1000조원(코스피 시가총액)의 1% 수준이라 금액이 많다 적다 논란이 있을 수 있으나 지난 2008년(금융위기) 당시 외국인이 팔고 나간 금액이 1.2% 수준인 것을 감안해 그 정도면 커버할만한 수준이라고 생각한다. 국민연금을 비롯한 연금기금에서도 시장안정에 대한 공감대가 있는 만큼 추가적으로 발표가 나올 것" (은성수 금융위원장 코로나19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 발표 이후 질의응답에서)

정부가 증시 안정을 위해 약 10조원 규모의 증권시장안정펀드(이하 증안펀드) 조성안을 꺼내들면서 요동치는 금융시장을 잠재울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인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투입 금액(5000억원)보다 20배 확대된 금액이긴 하나 증시 규모가 커진데다 최근 외국인의 하루 순매도량이 1조원에 달할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폭락장에서 열흘치에 불과한 자금이라 충분치 않다는 지적이 많아서다.

금융당국은 당장 다음주부터 신속하게 증안펀드를 가동, 속절없이 추락하는 시장의 가치를 방어한다는 방침이다. 증시 안정 효과가 역부족일 수 있으나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에 대한 적극적인 동참을 권유하고 있는 만큼 당장 급한 불을 끌 수 있지 않겠느냐란 판단이다.

24일 금융위원회는 '코로나19'로 변동성이 커진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채권안정펀드(이하 채안펀드)와 증권시장안정펀드를 각각 20조원, 10조7000억원 규모로 가동한다고 밝혔다.

채안펀드는 규모는 당초 시장에서 거론된 10조원 보다 두배나 늘었으나 증안펀드는 예상과 비슷한 수준이다.

증안펀드는 5대 금융지주와 각 업권의 선도 금융회사 총 18개사 및 한국거래소를 포함한 증권유관기관이 출자해 조성할 예정이다.

자금은 캐피털 콜(capital call) 방식, 즉 목표한 투자금을 다 모아놓고 집행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를 먼저 조성해 집행하는 식이다. 

아울러 개별 종목 주가에는 영향 주지 않도록 코스피200 등 증권시장 전체를 대표하는 지수 상품에 투자할 예정이다.

금융당국이 펀드를 만들어 자금을 증시에 투입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지난 2008년 이후 처음이다. 당시 5000억원 규모로 펀드를 만든 바 있다. 또한 2018년 10월 말 미중 무역전쟁으로 주가가 급락했을 당시에도 5000억원 규모의 자본시장 안정기금을 마련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전례 없는 위기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유동성을 집중적으로 공급하는 '실탄'을 마련, 증시 안전판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것이다.

효과에 대해선 논란이 예상된다. 금액 자체가 충분치 않다는 지적이 많다. 코스피 시가총액이 1000조원 수준이고 최근 외국인 하루 순매도량이 1조원에 이를 정도인데 10조원 규모로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수급 상황이다.

글로벌 증시 급락장세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장담할 수 없는 가운데 10조원의 증안펀드는 연속 매도장에서 최대 10일 가량 폭락을 막을 수 있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증시 규모가 커진데 비해 증안펀드 규모가 작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사들이 조성하는 증안펀드는 1990년 당시 시총 대비 5% 수준인 4조8500억 규모로 조성된 적이 있다. 1990년 이후 30년이 지난 현재 시총은 1000조원 수준이라 이를 감안한 증안펀드 규모는 시총 대비 1% 밖에 안된다.

은성수 금융위원장도 이 같은 기자 지적에 "증안펀드가 순매도를 다 커버하기엔 부족할 수 있으나 국민연금 등 연금기금 대부분 증시 안정에 대한 공감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추가 안정 대책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은 위원장은 이날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들에 "보다 장기적 시각에서 시장 안정에 적극 동참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폭락한 증시를 원래대로 회복시키는 주가 부양용이 아닌 시장안정화 조치 관점에서 이번 대책은 충분한 정책 효과를 발휘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원은 "증안펀드는 주가 부양이 아닌 시장 안정화 효과를 위해 도입하는 것"이라며 "시장의 완충 역할을 함으로써 과민 반응을 억제하도록 만들어 안정감을 찾을 수 있게 조성하는 것인데 10조원 규모면 목적했던 정책적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