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DX가 자체 개발한 영상인식 인공지능(AI) 기반 '동물 찻길 사고 예방·모니터링 시스템'을 정부와 협력해 국립공원 부근에 적용했다고 9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도로에 설치한 스마트 폐쇄회로(CC)TV 카메라와 라이다(LiDAR) 센서로 도로 위의 야생동물을 감지한다. 이를 AI로 판독·분석한 뒤 주변의 LED 전광판에 운전자를 위한 경고문구를 표시한다. 야생동물의 종류·출현 시간 등의 정보를 딥러닝 방식으로 학습해 CCTV 영상에 포착된 객체와 행동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출몰 가능성까지 추정한다.
포스코DX는 지난해 7월 환경부·국립공원공단·국립생태원과 체결한 사고 저감 업무협약에 따라 로드킬이 빈번한 경기도 양평군 일반국도 6호선 일대와 오대산 국립공원 진고개 부근 2곳에 시스템을 적용하기로 했다. 특히 오대산에는 라이다 전문기업인 아이요봇의 라이다 센서를 적용해 3D기반의 동물 감시 체계를 갖췄다.
환경부는 지난해 말 국토교통부와 수립한 '제3차 동물 찻길 사고 저감 대책'에 포스코DX의 시스템을 반영했다. 정부는 올해 횡성, 내년 남원 등 구간에 시스템을 추가 설치해 2027년까지 실효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엄기용 포스코DX 경영지원실장은 "산업현장에 주로 적용해온 AI 기술을 활용해 생물다양성 보전과 운전자 보호를 지원할 수 있게 됐다"며 "시스템이 실질적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고도화를 추진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