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금감원장이 던진 상생금융…부담스런 2금융권

  • 2023.07.04(화) 06:01

상생금융 강조에 카드업계 '이해는 하지만 부담'
2금융권 실적 악화되는데 상생금융까지 '난처'

그동안 은행권 위주로 '상생금융'을 강조해 온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금융권까지 발을 넓혔다. 이 원장이 제2금융권 행사를 찾은 것은 올해 들어 처음이다.

앞서 은행권은 이 원장이 방문할 때마다 '상생금융 보따리'를 풀었다. 지난 29일 우리카드가 카드사중 처음으로 지원 방안을 내놓으면서 2금융권 전체가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저신용자가 주된 소비자인만큼 금융당국의 상생금융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최근 연체율 급증과 실적 악화 등의 우려가 대두되고 있는 것이 부담이다. 여기에 단순 격려 차원이라는 이 원장의 말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도 힘든 것이 사실이다. 

상생 금융 강조하는 이복현, 난처한 카드사들

이 원장은 지난 29일 서울 영등포구 굿네이버스 회관에서 열린 우리카드의 굿네이버스 후원금 전달식에 참석해 "최근 제2금융권이 연체율 상승으로 인해 건전성 관리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지만, 합리적인 여신 심사를 통해 서민 자금공급이라는 본연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이 원장은 "금융권 전반에 이러한 노력이 확산되기를 기대한다"고 상생금융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이에 보답하듯 우리카드는 이날 업계 처음으로 상생금융 1호 지원책을 발표하고, 영세 카드가맹점과 금융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한 총 2200억원 수준의 지원방안을 냈다.

이 원장이 금융사들에 상생금융을 강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이 원장은 지난 2월부터 KB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을 연달아 방문했다. 은행들은 이 원장의 방문에 맞춰 대출금리를 인하하는 등 8000억원에 가까운 금융 지원책을 준비했다.

카드사들이 부담을 느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이 원장은 "카드업권 전반에 요구한 적 없다"며 "(금감원이) 선제적으로 말을 못 하지만 여력이 있는 카드·캐피탈사에서 제안해 주면 당국이 지지한다는 정도의 스탠스"라고 말했다.

하지만 당장 카드사들 사이에서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관 출신이고, 지주 계열사라는 점이 우리카드가 상생금융을 내놓을 수 있었던 이유"라며 "조달비용이 여전히 높은 편인 데다가, 연체율이 치솟고 있어 전반적으로 건전성 관리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규모 지원책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카드업계 관계자는 "상생금융 취지는 이해하지만, 조달비용 상승 등으로 업계 상황이 좋지 않아 시중은행 등 제1금융권과 비교해 충분한 지원을 하기에는 부담스러운 부분이 많다"고 토로했다.

7개 전업카드사 1분기 당기순이익 / 그래픽=비즈워치

실제 카드업계는 최근 수수료 인하는 물론 조달금리 상승 등으로 전반적으로 업황이 좋지 않다. 7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카드)의 올해 1분기 합산 당기순이익은 585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7640억원) 23.38%(1786억원) 감소했다.

카드사별로 하나카드 1분기 당기순이익은 20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63% 급감했다. 그 뒤로 우리카드가 458억원으로 46.4% 줄었고 롯데카드는 544억원으로 40.5% 감소했다. 업계 3위인 KB국민카드의 1분기 당기순이익도 82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1% 줄었다.

업계 1위인 신한카드의 올해 1분기 순이익은 1667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 1759억원 대비 가장 낮은 순이익 감소폭(5.2%)을 보였다. 삼성카드는 전년 동기 1608억원보다 9.5% 줄어든 145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고 현대카드의 1분기 순이익은 708억원으로 전년 동기 767억원 대비 7.9% 줄었다. 7개 카드사 모두 지난해보다 순이익이 감소했다. ▷관련기사:'조달비용 상승에 추풍낙엽' 카드사, 모두 울었다(5월16일)

다른 2금융권 '다음 타자는 우리?' 

이런 부담을 느끼는 것은 카드사들뿐만이 아니다. 다른 제 2금융권에서도 이전까지 1금융권이 했던 것처럼 상생금융 방안을 내놔야 하는 것 아니냐는 분위기다.

2금융권 관계자는 "은행, 카드사뿐만 아니라 다른 업권에서도 상생금융에 노력해달라고 당부한 것으로 아는데, 이런 당국의 메시지는 결국 남은 2금융권도 동참하라는 이야기"라며 "결국 상생금융 실행 여부가 아니라 시기와 규모를 고민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복현 원장은 지난 29일 "금융회사들이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특화 금융상품 개발을 통해 지속 가능한 상생금융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은행, 보험사뿐만 아니라 카드사, 금융투자(증권)사 등 다른 업권에서도 다양한 상생금융 상품 개발에 노력해달라"고 당부한 바 있다.

또 다른 2금융권 관계자는 "서민 자금공급이라는 본연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는데, 차주들이 처한 어려움을 알기 때문에 업황과 시장 상황에 맞게 2금융권도 새출발 기금, 대환대출 등 채무조정 상품까지 나름대로 노력하는 중"이라며 "고신용자들 대상으로 영업하는 1금융권과 다중채무자와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영업하는 2금융권은 상황이 많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카드사뿐만 아니라 타 2금융권 실적도 악화되고 있다. 저축은행 79개사는 올해 1분기 523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이는 저축은행 부실 사태가 한창이던 2014년 2분기(5059억원 순손실)이후 약 9년만이다. 연체율 또한 5.1%로 전년말(3.4%) 대비 1.7%포인트 상승했다. ▷관련기사:역대급 실적 잇는 은행 뒤…저축은행은 운다(6월6일)

전문가들도 금융당국의 2금융권을 향한 상생금융 주문을 우려하고 있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는 "최근 2금융권 전반적으로 연체율이 높고 위험 관리에 주력하는 상황에서 당국의 상생금융 주문은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면서 "취약 차주 부담 완화는 필요하기 때문에 2금융권이 1금융권처럼 상생금융 방안을 발표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연체액을 보증하는 등의 도움이 있어야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