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분주해진 SK에코플랜트…건설 불황 속 상장 추진? '촉각'

  • 2023.07.20(목) 06:30

친환경 자회사 7곳 합병 결정…20일 회사채 수요예측
올 하반기 상장 예비심사 가능성…몸값 '10조' 가능할까

SK그룹의 비상장 건설사 SK에코플랜트의 움직임이 분주해지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SK에코플랜트를 올해 하반기 상장을 추진하는 대어 중 하나로 꼽으며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애초 목표로 알려진 시가총액 10조원을 달성할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국내 부동산 시장 침체가 1년 여간 이어져 온 가운데 건설사가 상장을 추진한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SK에코플랜트의 경우 기존의 건설영역에서 친환경 기업으로의 변신을 꾀하고 있다는 점을 시장에서 인정받을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SK에코플랜트 사업별 매출 비중 변화. /그래픽=비즈워치.

1000억원 규모 회사채 수요예측 '촉각'

SK에코플랜트는 오늘(20일) 1000억원 규모의 회사채 수요예측을 진행한다. 흥행에 성공할 경우 최대 2000억원까지 증액한다는 방침이다.

SK에코플랜트가 공모채 시장에서 자금 조달에 나선 건 올해 들어 지난 2월에 이어 두 번째다. 당시 1000억원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5080억원의 매수 주문이 몰리면서 발행 규모를 2000억원으로 늘린 바 있다.

이번 회사채 발행은 SK에코플랜트가 올해 하반기 기업공개(IPO)를 추진할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더욱 관심을 받고 있다. 상장을 앞두고 시장의 투자심리를 확인하는 가늠자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증권가에서는 SK에코플랜트가 올해 하반기 중 상장 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그간 기업 가치가 최대 10조원까지 거론됐던 만큼 상장 대어로 꼽으며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이런 와중에 SK에코플랜트가 대원그린에너지 등 친환경 폐기물 자회사 7곳의 합병을 결정했다는 점도 관심을 끈다. 하반기 상장 추진을 위해 기업 가치 제고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는 "구체적인 상장 시기는 아직 정해진 바 없다"면서도 "시장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상장 예비 심사를 신청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환경·에너지 사업 확대 가속…건설, 여전히 발목

SK에코플랜트는 앞서 지난해 초 NH투자증권 등 5개 금융사를 상장 주관사로 선정하며 기업 공개 추진을 본격화한 바 있다. 특히 당시 SK에코플랜트는 2023년 기업가치 목표를 10조원으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져 눈길을 끌기도 했다. 목표가 구현될 경우 삼성물산을 제외한 국내 건설사 중 시총 1위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다만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투심 악화 등으로 상장 시기가 늦춰질 수 있다는 전망이 많았다. 특히 자본 시장에서 건설 업종에 대한 미래 가치 평가가 다소 회의적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SK에코플랜트 2020년 이후 사업다각화 주요 투자. /그래픽=비즈워치.

다만 SK에코플랜트는 그간 기존의 건설업에서 친환경 신사업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는 데 공을 들이면서 상장 추진의 동력을 만드는데 힘썼다.

SK에코플랜트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이후 환경과 연료전지, 해상풍력, 폐기물 처리 등 사업다각화를 위해 총 3조 3000억원가량의 투자를 이어왔다. 이를 통해 환경·에너지 사업 매출 비중을 지난 2021년 약 14%에서 올해 1분기 37%까지 끌어올렸다.

증권가에서는 이런 사업 포트폴리오 변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나승두 SK증권 연구원은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의 사업 구조 전환을 추진 중인 SK 에코플랜트의 노력이 실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에너지와 환경 부문이 외형 성장을 견인했고, 전체 영업이익에서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등 체질 개선은 성공했다는 판단"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여전히 매출의 절반 이상이 아파트와 플랜트 등 기존 건설 사업에서 나오는 만큼 발목을 잡을 가능성도 있다. 국내 부동산 경기가 여전히 침체해 있다는 점은 부담이 될 전망이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이번 회사채 신용등급 평가서를 통해 "건설∙환경∙에너지 등 다변화된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계열 매출 기반이 유지되고 있다"면서도 "주택 분양 성과와 부실 현장의 원가율 조정에 따라 영업 수익성이 변동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