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 9일, 1446년
세종대왕, 훈민정음 반포
1446년 10월 9일 조선 4대 국왕인 세종이 한국 고유문자인 훈민정음 28자를 반포했다.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의 훈민정음은 3년 전인 1443년 이미 완성됐지만 3년 동안 용비어천가를 짓는 등 그 실용성에 대해 널리 알린 후 반포한 것이다.
훈민정음을 창제한 목적은 빌려 쓰고 있는 중국 글자 대신 우리말에 맞는 새 글자를 만들어 민족 자주정신을 고양하고 한자를 모르는 백성들이 보다 쉽게 문자를 배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한글’이라는 이름은 주시경 선생이 만들어 1913년부터 쓰이기 시작했다.
세종대왕, 훈민정음 반포
1446년 10월 9일 조선 4대 국왕인 세종이 한국 고유문자인 훈민정음 28자를 반포했다.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의 훈민정음은 3년 전인 1443년 이미 완성됐지만 3년 동안 용비어천가를 짓는 등 그 실용성에 대해 널리 알린 후 반포한 것이다.
훈민정음을 창제한 목적은 빌려 쓰고 있는 중국 글자 대신 우리말에 맞는 새 글자를 만들어 민족 자주정신을 고양하고 한자를 모르는 백성들이 보다 쉽게 문자를 배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한글’이라는 이름은 주시경 선생이 만들어 1913년부터 쓰이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