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고소영도, 대부업체도 깨달았다㊤

  • 2015.10.06(화) 09:52

[안타까운 대부업의 변신]㊤
부정적 꼬리표 떼려 노력했지만 '허사'

배우 고소영의 일본계 금융회사 광고 출연 논란은 고 씨의 자진 하차로 금세 사그라들었다. 뒤늦게 '간과한 부분'을 깨달았다는 고 씨의 신속한 대응으로 여론은 잠잠해졌다. 그러나 대부업계와 일본계 금융사들에는 오히려 큰 과제를 안겼다. 나아가 저축은행 등 서민금융사들과 외국계 자본에 대한 인식의 문제를 다시 끄집어낸 '사건'이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고 씨의 광고 출연 논란의 의미와 전망을 짚어봤다. [편집자]

 


 

"다방면으로 성장하는 금융 그룹의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고 싶다는 광고의 취지와 콘티를 보고 내린 결정이었지만, 보도가 나온 뒤 제가 간과한 부분이 있다는 것을 뒤늦게 깨닫게 됐습니다." (배우 고소영 사과문 中)

최근 배우 고소영 씨가 일본계 금융회사 광고에 출연한다는 소식에 비난 여론이 들끓었다. '톱스타가 서민에게 고통을 주는 대부업체 광고를 하느냐'는 질책이다. 고 씨의 자진 하차로 논란은 사그라들었다. 고 씨는 "제가 간과한 부분이 있다는 것을 뒤늦게 깨닫게 됐다"고 했다.


깨달은 것은 고 씨만이 아니다. 해당 금융회사는 물론 대부업체들도, 일부 저축은행도 놀란 분위기다. '고리대금업'의 부정적 이미지를 털어내기 위해 수년간 노력을 기울였고, 요즘 들어 달라지나 싶었는데 그게 아니었다는 허무함이다. 앞으로도 이런 이미지를 획기적으로 뒤집는 게 쉽지 않아 보인다는 건 더욱 문제다.

 

▲ J트러스트 그룹 광고 화면 캡처. J트러스트는 고소영 씨의 분량을 삭제한 광고를 내보내고 있다.


◇ "우리는 억울하다"

업계의 얘기를 들어보자. 논란이 된 건 일본계 금융회사인 J트러스트의 그룹 이미지 광고다. 고 씨가 사과문에서 언급한 것처럼 J트러스트는 엄밀히 말하면 현재 대부업체가 아니라 '금융그룹'이다. 대부업체를 사들여 국내에 진출했으나, 1년 넘게 대부업에서 손을 뗐다는 게 J트러스트 측의 입장이다.

이 그룹의 대부업 계열 3사는 지난 3월 이후 신규 대출을 하지 않고 있다. 지금은 제도권 금융그룹으로 거듭나기 위해 다른 계열사인 JT친애저축은행과 JT캐피탈 등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번 고 씨의 그룹 이미지 광고도 어쩌면 이런 변화를 '홍보'하기 위해 기획한 것이다.

J트러스트에 대한 오해를 풀더라도 남은 대부업체들은 여전히 억울하다. 대부업체도 엄연히 제도권 내에서 관련 법을 지켜가며 영업을 하고 있는데, 왜 무작정 비난을 받아야 하느냐는 주장이다. 한국대부금융협회가 발행하는 '소비자금융신문'엔 최근 '대부업이 범죄도 아닌데 비난 여론몰이가 너무한 것 아니냐'는 내용의 기사가 실렸다.

이들의 주장에도 일리가 있다. 사실 대부분 '등록 대부업체'는 법정 최고금리 상한선 내에서 대출을 하고 있다. 드라나마 소설, 영화에서 나오는 수백 퍼센트의 고리대금을 갈취하는 이들은 '대부업체'가 아닌 '불법 사채업자'라고 부르는 게 더 정확한 표현이다.

◇ 달라진 건 없었다

당장 사실관계에 오해가 있었다면 이들의 주장대로 차근차근 자초지종을 설명해 풀면 된다. 그러나 문제는 이번 논란이 단순한 오해 탓이 아니라 소비자들에게 각인된 오랜 인식에 의한 것이라는 점이다.

연예인의 광고 출연 논란도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최민식, 최수종, 한채영 등도 수년 전 대부업 광고에 출연했다가 논란에 휩싸였다. 대부업 광고에 캐릭터가 등장한 것도 연예인의 출연에 대한 비난의 여론이 끊이지 않아서다.

대부협회와 대형 대부업체들은 이런 논란이 불거질 때마다 '우리는 사채업자가 아니다'라고 강조해왔다. 일부 대부업체는 봉사 활동에 나서고 재단을 만들어 어려운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주며 이미지 쇄신을 꾀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 논란에서 확인했듯이 대부업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은 여전히 난공불락이다. 지금 대부업 영업을 하지 않아도 '경력'이 있으면 비난의 대상이 된다. 금리 상한 법을 지켜도 사채업차의 꼬리표가 떼어지지 않는다. "이번 논란은 대부업체라면 서민의 고혈을 빨아먹는다며 조건반사적으로 혐오하는 식"이라며 발끈하는 것도 이런 이유다.

◇ 일본계·저축은행도 울상

이번 논란은 J트러스트가 일본계 금융사라는 점에서 더욱 폭발한 면이 있다. 국내 시장에 진출한 여러 외국계 자본 중에서도 '일본' 자본은 유난히 비난의 대상이 되곤 한다. 이 때문에 '일본계'라는 꼬리표를 단 금융사들 역시 이미지 쇄신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대부업계에서 '러시앤캐시'라는 브랜드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아프로서비스그룹이 대표적인 예다. 아프로서비스 그룹은 저축은행을 인수해 '오리지널 코리안(Original Korean)'의 의미로 사명을 OK저축은행이라고 짓기까지 했다. 프로배구단도 운영한다. 그러나 일본계 자본의 국내 시장 잠식을 비판하는 기사에선 여전히 단골 회사다.

일본계로 국내 시장 1위 업체인 SBI저축은행은 최근 한국인 대표이사를 선임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SBI저축은행 측은 "한국에서 사업을 운영하면서 한국인 경영진이 중심이 돼야 한다는 방침에 따른 인사"라고 설명했다.

저축은행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이번 광고가 논란이 되면서 최근 저축은행 광고에 출연한 일부 연예인들도 싸잡아 입방아에 올랐다. 이들 역시 서민을 대상으로 한 고금리의 대출 상품을 권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