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연방준비제도(fed)가 또 한 번의 '자이언트 스텝'을 밟았다. 경기침체 가능성이 짙어지고 있지만, 먼저 물가를 잡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보인 것이다.
27일(현지 시각)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 이후 성명을 통해 우리나라의 기준금리에 해당하는 정책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한 2.25~2.50%로 운용한다고 밝혔다.
'인플레파이터' 파월, 또 자이언트 스텝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올해 들어 총 5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특히 지난달과 이달에는 한 번에 금리를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연이어 단행했다. 연준이 두 차례에 걸쳐 금리를 1.50%포인트 인상한 것은 지난 1980년 이후 가장 큰 인상 폭이다.
미국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 배경은 단연 물가다. 미국은 올해 들어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고공행진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1% 상승했다. 1981년 12월 이후 40년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역시 이날 성명 발표 이후 "양호한 물가지표를 기대하지는 않았으나 (물가상승률이) 예상보다 더 나빴다"며 "우리는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데 집중할 것이며 물가안정은 경제의 기반"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파월 의장은 물가 안정을 위해 다음번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도 또 한 번의 자이언트 스텝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그는 "9월 있을 회의에서도 이례적인 큰 금리인상이 적절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지금 정할 일은 아니며 당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시장은 일단 '안도'
금융시장은 연준의 자이언트 스텝에 오히려 안도하는 분위기다. 6월 물가가 역대급 상승세를 기록한 만큼 연준이 기준금리를 1.00%포인트 인상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지만, 시장의 예상대로 0.75%포인트 인상에 그쳤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미국 뉴욕증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436.05포인트(1.37%)오른 3만2197.59로,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02.56포인트(2.62%)오른 4023.61로, 나스닥 지수는 469.85포인트(4.06%)오른 1만2032.42로 마감했다.
국내 증시 역시 안도감을 보이는 모습이다. 이날 코스피는 전일 종가 대비 22.04포인트(0.91%)오른 2437.57로 장을 시작했다. 달러/원 환율도 전일 종가 대비 7.3원 하락한 1306원으로 개장해 위험 자산 기피 심리가 완화하는 모습이라는 해석을 낳고 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이후 달러화의 약세가 진행돼 원화의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파월 의장이 점진적인 금리인상을 언급했고, 경기에 대한 자신감을 표현한 것을 볼 때, 이는 외국인 수급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했다.
미국 기준금리 한국 앞섰다…앞으로는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우리나라 경제에 불확실성을 높일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장 한국과 미국과의 금리가 역전되면서 외국인 자금유출과 원화 약세 압력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어서다.
일단 정부에서는 이런 우려가 크지 않다는 입장이다. 이날 오전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비상 거시금융경제회의를 열고 현안에 대해 점검했다.
추 부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과거 세 차례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기에 모두 역전 현상이 있었지만 국내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은 오히려 순유입을 유지했다"라며 "우리 경제 펀더멘털과 글로벌 이벤트에 대한 적절한 대응 등이 자본유출입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내일 발표될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에 주목하는 모습이다. 일단 파월 연준 의장이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에는 선을 그었지만, 2분기 성장률이 시장의 전망을 크게 하회하면 침체에 대한 공포가 다시 커질 수 있어서다.
아울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탄력이 붙을 것이란 관측이다. 정부가 미국과의 금리 역전으로 인한 부작용은 크지 않을 것이란 입장을 내놨지만, 이 차이를 오래 유지할 경우에는 외인자금유출, 원화 약세 등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이유에서다.
우리나라 역시 물가상승세가 좀처럼 진정되고 있지 않은 점 역시 한은이 연이은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배경으로 꼽힌다. 지난 6월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지난해 동기 대비 6% 상승하며 지난 1998년 이후 최고 상승 폭을 기록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서영경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은 지난 27일 있었던 '한은 금요강좌' 특별강연에서 "당분간 물가상승률은 6%를 기록할 것"이라며 "이에 당분간은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갈 필요가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