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시간선택제 일자리 '글쎄요' 기업 5개중 1개만 채용

  • 2014.02.02(일) 12:52

경총 조사결과 44%만 "취지, 필요성 공감"
채용 혹은 검토기업 17.5% 불과

 

정부가 일자리 확대를 위한 정책으로 추진중인 시간선택제 일자리와 관련, 취지나 필요성에 공감하는 기업들이 40% 수준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실제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도입했거나 검토하고 있는 기업들은 17.5%에 불과했다. 또 정부의 정책추진에 압력을 느끼거나 눈치가 보인다는 답변도 60%를 넘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2일 전국 354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4.6%의 기업이 정부의 취지와 필요성에 공감한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반면 44.1%는 공감하지 못했고, 11.3%는 잘 모르겠다는 답을 내놨다.

 

정부의 정책에 유·무형의 압력을 느낀다는 반응이 29.3%였고, 강압적이지는 않지만 눈치가 보인다는 응답도 32.4%에 달했다.

 

특히 시간선택제 근로자를 이미 채용했거나 채용을 검토중인 기업은 17.5%에 그쳤다. 시간선택제 채용에 부정적인 답변을 내놓은 기업들은 적합직무 부족(33.8%)과 업무연속성 단절로 인한 생산성 저하(28.5%)를 이유로 지목했다.

 

경총은 "시간선택제 확산을 위해 시간제에 적합한 직무 개발이 시급하며, 동시에 생산성 저하에 대한 기업의 우려를 완화시킬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들이 생각하는 시간선택제 근로자의 전형으로는 '경력있는 30대 여성으로 1일 6시간 근무하며 별도기준의 임금과 복지를 적용받는 기간제 근로자'를 예상했다. 이들이 맡을 업무로는 단순노무(29.1%)가 가장 많았고, 생산·기능(20.6%) 관리·사무(18.6%), 안내·상담(10.9%) 등의 순서였다.

 

시간선택제와 관련한 법적규제중 부담이 가장 큰 것으로는 '전일제 수준의 시간당 임금 지급'을 가장 많이 꼽았다. '전일제 전환청구권'과 '기간정함 없는 근로계약' 등도 뒤를 이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
  • 오늘의 운세
  • 오늘의 투자운
  • 정통 사주
  • 고민 구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