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앞으로 5년간 인공지능(AI) 기술, 인력, 인프라에 2조2000원을 투자한다. 이번 투자를 통해 공공분야 AI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민간분야 발전을 지원한다. AI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과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기계학습용 데이터를 비롯한 인프라를 구축한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KT사옥에서 제6차 회의를 열어 이 같은 AI 연구개발(R&D) 전략을 의결했다. 오는 2022년까지 AI 인력 5000명을 양성하고 기계학습용 데이터 1억6000만건을 축적해 AI 역량을 키운다는 목표다.
기존엔 우리나라의 AI 기술 수준이 주요 국보다 낮고 관련 인력 수도 적었다. 지난해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AI 기술력은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 국보다 약한 상태다.
카이스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연구기관 내 AI 연구원 수도 200명이 채 안돼 1000여명의 인력을 갖춘 중국, 프랑스 등보다도 밀렸다.
과기정통부는 AI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안전, 국방, 의료 등 공공분야 AI 핵심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공항 테러 위험인물과 물질 식별, 작전 지휘 통제, 실시간 응급상황 대응 등 공공 서비스에 필요한 언어와 이미지 인식, 상황 판단 기술을 개발한다.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민간분야도 지원한다. 약물에 사용될 물질을 발굴, 시험하는데 AI를 적용하는 신약분야가 대표적이다. 과기정통부는 보건복지부와 함께 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을 구축한다. 그 외 미래소재, 농업 분야 AI에 대한 지원도 확대할 예정이다.
AI 전문기업의 상품과 서비스를 평가해 개발비용을 지원하는 AI 융합 선도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AI 전문기업의 제품을 공공기관 수요와 연결해주는 지능정보 서비스 확산사업 투자도 늘린다.
AI 인력 5000명도 양성한다. 석, 박사 인력 1400명을 키우기 위해 오는 2022년까지 AI 전문 대학원 6곳을 신설한다. 대학정보통신연구센터협의회(ITRC), SW스타랩, 선도연구센터 등 주요 AI 연구기관에 대한 투자도 확대한다.
아울러 AI 산업인력 3600명을 육성하기 위해 관련 분야 졸업 예정자와 구직자를 대상으로 AI 프로젝트 수행 교육을 실시한다. 수준별 AI 기술 교육과 비즈니스 모델 개발과정을 운영해 창업 인력도 키운다.
AI 인프라 구축도 추진하면서 기계학습용 데이터 1억6000만건을 확보한다. 기계학습용 데이터란 AI에서 처리하기 쉬운 포맷으로 가공된 데이터를 말한다. 언어와 이미지, 일반상식 등 범용 데이터와 법률, 의료 등 수요가 높은 분야의 기계학습용 데이터를 축적해 지난 1월부터 운영 중인 R&D 플랫폼인 AI 오픈 이노베이션 허브에서 공개한다.
이와 함께 일반기업이 데이터를 기계학습용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앞으로 3년간 바우처 600건을 발급해 가공비용의 일부를 댄다.
AI 상품과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컴퓨팅 시스템도 오는 2022년까지 400개 기관에 도입하고 공공분야 AI R&D를 통해 개발한 API(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28종을 공개할 예정이다.
남철기 과기정통부 인공지능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총 투자금액 2조2000억원 중 1조6000억원을 기술 개발에, 4700억원을 인력 양성에, 1000억원을 인프라 구축에 쓸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권용현 과기정통부 지능정보사회추진단 부단장은 "우리나라는 미국과 중국보다 기술력이 취약하지만 대부분의 AI 알고리즘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는 등 개방수준이 높아 전략적으로 접근 시 경쟁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