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서울 등 12개 지자체 '도시 관리, 더 편해진다'

  • 2018.02.28(수) 14:32

국토부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사업지' 선정
도시 인프라에 ICT 기술 결합…관리 효율 향상

서울시와 제주 등 12개 지방자치단체들이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

 

국토교통부는 28일 방범·교통 등 단절된 각종 정보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연계·활용하고, 스마트 도시 안전망을 구축하는 '2018년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사업' 대상지로 서울시, 제주도 등 12개 지자체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전국 33개 지자체가 참여한 이번 공모에서 대상지로 선정된 곳은 서울시와 제주도 외에 용인시, 남양주시, 청주시, 서산시, 나주시, 포항시, 경산시, 고창군, 마포구, 서초구 등이다. 이들 지자체는 사업비 12억원중 6억원을 각각 지원받게 된다.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은 교통과 환경, 에너지, 수자원 등 각종 도시 인프라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연계·활용하는데 핵심 역할을 하는 기반 소프트웨어다. 고가의 외국산 플랫폼 수입을 대체하기 위해 국가 연구·개발(R&D)사업으로 개발됐다.

 

통합 플랫폼이 지자체에 적용되면 방범이나 방재, 교통 등 주요 정보가 유기적으로 연계돼 도시 관리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보다 편리한 '스마트시티'로 운영될 수 있다.

 

또 국토부가 경찰청·소방청 등과 협력해 2016년부터 개발한 5대 안전망 연계 서비스도 함께 보급된다. 5대 안전망 연계서비스는 ▲112센터 긴급영상 지원 ▲112 긴급출동 지원 ▲119 긴급출동 지원 ▲긴급재난상황 지원 ▲사회적 약자(어린이, 치매노인 등) 지원 등이다.

 

이 서비스는 112와 119 등 국가 안전재난 체계가 개별 운용돼 긴급상황시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한 골든타임 확보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구축하는 사업이다.

 

앞으로는 지자체와 112, 119, 사회적 약자(어린이, 치매인 등) 보호를 위한 정보시스템이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으로 연계돼 골든타임 단축 등 국민안전 서비스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부는 2022년까지 전국 80개 지자체에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을 보급해 4차 산업혁명의 기반 조성과 도시 안전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 서울시 등 광역 대도시와 인구가 적은 소규모 도시는 과기정통부, 한국정보화진흥원 등과 협력,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해 3~4개 지자체를 묶어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을 적용하는 기반구축 사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정경훈 국토부 도시정책관은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을 활용한 연결성을 바탕으로 자율주행차, 드론, 스마트홈 등이 도시 내에서 원활하게 운용될 수 있도록 지능화된 도시기반 조성을 서두르겠다"고 말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