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수익 줄고, 연체 늘고…저축은행 괜찮을까

  • 2023.03.28(화) 16:21

저축은행 연체율 3.4% …1년새 0.9%P 상승
고위험 PF 사업장 비중 29.4%…금융권 최대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이 파산한 이후 저축은행 리스크 관리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국내 저축은행의 지난해 순이익이 크게 줄고 부실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특히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익스포저(대출·보증 등 위험노출액)가 사상 최대 수준에 이르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저축은행 연체율 11년 만에 다시 상승

저축은행 영업실적 /그래픽=비즈워치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2021년 대비 지난해 저축은행 순이익이 감소하고 연체율 또한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지난 24일 발표한 '2022년 상호저축은행 영업실적'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1조5957억원으로 전년 동기 1조9646억원 대비 18.8% 줄었다.

총여신 연체율 또한 2021년 대비 악화됐다. 저축은행의 총여신 연체율은 3.4%로 1년전 2.5%보다 0.9%포인트 높아졌다. 기업대출 연체율과 가계대출 연체율은 각각 2.8%, 4.7%로 2021년말보다 각각 1.0%포인트 상승했다.  2011년 이후 계속 하락세를 이어오던 연체율이 지난해 처음으로 방향을 바꿨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을 이용하는 차주들은 다중채무자가 대다수이고 대부분 저신용자이기 때문에 경제 상황이 안 좋아지면 가장 타격을 많이 입는다"라며 "당장 하루 벌어서 하루 이자를 갚아야 하는데 최근 경기가 안 좋아지면서 상환 능력이 급격하게 떨어져 연체율 또한 상승할 수밖에 없었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연체율이 높아지며 지난해말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비율은 4.1%로 1년전(3.4%)보다 0.7%포인트 뛰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채권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로, 높을수록 부실자산이 늘어나 건전성이 악화됐음을 뜻한다.

손실에 대응할 수 있는 여력을 보여주는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전년말 대비 다소 하락했다. 고정이하여신 대비 대손충당금 비율도 113.4%로, 2021년말(126.9%) 대비 13.5%포인트 떨어졌다.

저축은행 연체금 추이/그래픽=비즈워치

특히 지난해 저축은행의 가계 신용대출 연체액이 급증했다. 양정숙 의원(무소속)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지난해 신용대출 연체 증가율은 34.21%로 여신전문금융회사(57.75%)에 이어 가장 가파른 증가율을 보였다. 

지난해 저축은행의 신용대출 연체액은 1조5159억원으로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과 저축은행, 보험사, 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중 가장 많았다. 저축은행 신용대출은 담보제공이 어려운 저신용 차주들이 주로 받는데 고금리와 경기침체 여파로 상환능력이 그만큼 떨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또 저축은행의 지난해 주담대 연체액의 경우 289억원으로 전년(154억원)보다 87.8% 늘며 업권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신용대출 잔액을 줄이고 있는 다른 금융권과 달리 저축은행 신용대출 잔액이 계속 늘어나는 점도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저축은행 신용대출 잔액은 2018년말 11조2053억원에서 지난해말 29조4345억원까지 불었다.

신용대출의 경우 담보제공이 어려운 저신용 차주들이 주로 받기 때문에 손실이 발생하면 이를 금융사가 그대로 떠안아야 한다. 신용대출이 많아질수록 금융사의 부실 위험성도 높아지는 것이다.

이정환 한양대학교 경제금융학부 교수는 "최근 대출 금리가 급격하게 상승하면서 차주들의 이자에 대한 부담도 같이 상승했다"며 "금융권 전체적으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연체율 상승 같은 것은 보통 천천히 일어나기 때문에 부동산 PF가 급격하게 터지지 않으면 대비가 가능할 것"이라면서도 "연체율이 계속 상승하게 되면 저축은행들이 건전성 악화를 막기 위해 부실채권을 팔 수밖에 없는데 이때 제값을 받지 못할 경우 유동성 비율 악화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의 또 다른 위협 'PF대출'

현시점에서 저축은행의 부실 '뇌관'으로 꼽히는 건 부동산 PF 대출이다. 비은행금융기관을 중심으로 부동산 PF 및 건설업·부동산업 대출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저축은행의 PF대출 규모와 부실 위험성은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6월 기준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대출중 고위험 PF 사업장 비중은 29.4%로 은행(7.9%) 여신전문금융회사(11.0%) 보험사(17.4%) 증권사(24.2%)보다 높다.

지난해 9월 기준 저축은행의 PF 대출 연체율은 2021년말 1.2%에서 작년 9월 2.4%로 두 배로 뛰었다. 부동산 PF 관련 익스포저(위험노출액) 또한 2020년말 6조9000억원에서 2021년말 9조5000억원, 작년 3분기 10조7000억원으로 늘어났다.

다만 저축은행업계에선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PF 대출 심사를 강화해 2금융권의 다른 업권에 비해 저축은행의 부실 위험이 적은 것으로 보고 있다. 저축은행은 PF 사업자금의 20% 이상을 자기자본으로 조달할 수 있는 차주(대출받는 사람)에만 PF 대출을 실행한다.

또 금융감독원에서도 부동산 불안이 금융시장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PF 대주단 협약 가동'을 연착륙 대책으로 내놨다. PF 사업 진행에 어려움이 예상돼도 금융기관들이 협약을 맺고 준공까지 갈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PF 대주단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자율 협약을 진행할 때 협약으로 인해서 지원해주고 싶어도 못 하는 상황이 오면 PF대출 한도 관련 규제를 한시적으로 완화하는 것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축은행 관계자 또한 "최대한 대손 충당금을 쌓고 신규 대출도 줄이고 있다"며 "최근 경기 악화로 앞으로 연체율은 소폭 오를 수 있지만 2011년 저축은행 부실 사태와 같은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