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포털 제휴평가위 5주년 세미나, 내부 쓴소리로 '후끈'

  • 2021.02.26(금) 18:27

폐쇄적·불투명 지적, 공(功)보다 과(過) 무게
포털 입점심사 폐지·최소화, 제재 활성 주장

'귀찮은 문지기 역할·허울 좋은 공적기구·포털 책임을 외주화한 범퍼'

올해로 출범 5주년을 맞은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이하 제평위)를 두고 날선 내부 지적이 쏟아졌다. 제평위가 포털 뉴스 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했다는 점은 의미를 둘 수 있으나 폐쇄적이고 불투명하게 운영, 그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가 많다는 평가다.

좋은 저널리즘을 위해 지금의 제평위 구조를 바꿔야 하고 연성화한 뉴스 대신 고품질의 기사를 양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언론사 입점 심사를 폐지하거나 최소화하는 대신 제재·재평가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6일 제평위는 그동안 활동을 평가하고 향후 개선 방향을 찾기 위한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했다. 토론에 제평위 심위위원회 위원 출신인 5명의 참가자가 나왔는데 대부분 공(功)보다 과(過)에 무게를 뒀다.

대표적으로 제평위 조직의 폐쇄성과 불투명성이 꼽혔다.

이선민 시청자미디어재단 정책연구팀 박사는 "출범 5년만에 이제서야 세미나를 통해 처음 실체를 선보인다는 점 자체가 투명하지 못했다는 것"이라며 "제평위는 포털의 책임을 외주화한 일종의 범퍼 역할에 그쳤다는 지적이 많은데 외부 비판을 제평위가 떠안고 정작 포털은 책임을 지지 않고 있어서"라고 지적했다.

제평위가 포털사들의 사적 계약을 저널리즘 공적기구에 위임하는 과정에서 탄생했기 때문에 그로 인해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는 인식도 있다.  

이희정 전(前) 한국일보 미디어전략실 실장은 "포털이 실검을 폐지한 것은 제평위와 무관한 자체 실행인데 이를 보면 제평위는 귀찮은 문지기 역할을 맡고 있는 공적기구에 불과하다"며 "포털은 사회적 역할이나 언론 생태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에 대해 오만할 정도로 무신경하고 언론사는 안쓰러울 만큼 무력한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임장원 KBS 보도본부 시사제작국 국장은 "제평위 심위위가 알고리즘과 댓글, 실검과 관련해 여러차례 문제제기를 했으나 권한 밖"이라며 "운영위가 이를 잘했으면 했는데 역량이나 구성면에서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근영 프레시안 경영대표도 "하루에도 수만개의 기사가 통신사발로 쏟아지고 있고 이를 다른 매체들이 재생산하는 구조라 독자 입장에선 피곤할 수 밖에 없다"라며 "이러한 문제를 제평위에서 수년째 논의하고 있으나 아직도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평위 구조를 대대적으로 손봐야 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이선민 박사는 "제평위를 이루는 15개 단체 가운데 시민단체는 언론사 관련 단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숫자가 적다"라며 "언론 생산자 단체가 불편하지 않은 선에서 논의하는 저관여 현상이 나타날 수 밖에 없는데 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 국장은 "가칭 포털뉴스서비스 위원회라는 큰 틀거리를 만들어 포털 정책적 판단과 관련해 다양한 논의를 해야 한다"라며 "제평위 위원의 업무 전문성을 위해 구성을 진화 발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제평위의 역할과 기능을 확장하고 위원 수를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성순 법무법인 한일 변호사는 "제평위는 구성과 운영면에서 입점 계약과 해지에만 관여를 하고 그 외에 영역에선 활동이 불가능"이라며 "포털이 공적 지위를 자각하고 제평위라는 기구를 만들었다면 뉴스 정책 참여와 자문을 권고하는 기능을 운영위에 부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변호사는 "운영위에 전문가와 일반 이용자를 참여시켜 뉴스 서비스 형태와 포털 정책에 대해 자문하고 권고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라며 "심의위에서 한 사람의 위원이 지나치게 많은 수의 매체를 평가하는데 업무 부담을 덜기 위해 위원회 숫자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제평위는 온라인 뉴스 생태계의 건강한 발전을 위해 2016년 설립한 독립기구다. 언론 유관단체 및 이용자 단체, 학계 및 전문가 단체 등 15개 단체에서 각각 2명씩 추천한 30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운영위와 심의위 두개 조직에 속한 위원들은 각각 언론사의 포털 입점과 퇴출 심사를 맡고 있으며 뉴스 서비스 주체인 네이버와 카카오는 제평위에 모든 권한을 위임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대해 발제를 맡은 배정근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교수는 "매우 이례적이고 특이하다"고 평가했다.

배 교수는 "운영위와 심의위의 역할이 불분명하고 제평위가 자율기구 성격인 것 같지만 내용상 포털-언론사의 사적 계약을 중재하는 정도"라고 말했다.

배 교수는 "제평위 활동을 전체적으로 정리하면 뉴스 생태계 관리를 사회적 거버너스 기구로 이전했고 포털 뉴스 생태계에서 저널리즘 실행 성과와 평가에 대한 구체적 기준을 마련하는 등에 대해선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다만 비슷비슷한 기사와 낯뜨거운 광고가 늘어난 점이나 연성화한 뉴스나 어뷰징 행위가 기승을 부리는 점은 제평위가 풀지 못한 숙제라고 지적했다. 

배 교수는 저널리즘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제평위가 언론사와의 상생을 위한 투자와 진지하고 독자적인 기사 콘텐츠를 발굴, 유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금의 제평위 입점심사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배 교수는 "입점 심사를 폐지하고 개방형으로 전환하거나, 제재·재평가를 활성화해 자정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발제자 유경한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역시 "입점은 자유롭게, 제재는 정교하게 해야 하며 이를 위해 평가위원 전문성을 제고하고 측정 가능한 품질 평가 지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