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관세 전쟁 발발, 미국의 금리인하 중단 등의 우려로 코인 시장이 얼어붙었다. 거의 모든 코인들이 급락하면서 시장 심리도 크게 위축되는 모습이다.
3일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알트코인 대장주 리플(XRP)과 도지(DOGE) 코인이 장중 20% 이상 급락하는 등 대부분 코인이 하락했다. 리플은 3500원까지 떨어져 두 달전 가격으로 회귀했다. 도지는 지난해 11월 초 가격으로 밀리며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다.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트론(TRON), 수이(SUI) 등도 10% 이상 하락하며 그 동안의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했다. 비트코인(BTC)은 전날대비 5%가량 하락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고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는 이날 유일하게 상승세를 보였다.
갑자기 코인시장이 급락한 것은 그동안 누적됐던 인플레이션 심화와 유동성 축소 가능성에 대한 걱정이 한 순간에 터져 나왔기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후로 미국의 경제정책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있었던 가운데, 추가 관세 부과가 전격 실행되면서 시장이 급속히 냉각됐다.
미국은 이달부터 캐나다, 중국, 멕시코 제품에 10~25%의 관세를 추가 부과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캐나다와 멕시코도 미국산 제품에 보복관세를 매기기로 하는 등 각국의 관세 인상으로 물가 불안 가능성이 커지게 됐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 금리 동결도 시장에 영향을 끼쳤다. 지난 29일(현지시간) 연준은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새해 들어 연준이 금리 인하에 제동을 걸면서 시장 심리도 급격히 악화됐다.
이러한 시장 불확실성은 한동안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관세·이민·재정정책 등과 관련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다"며 "이런 정책들이 경제에 미칠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정책이 무엇인지 기다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인 시장도 한동안 불안한 모습을 이어갈 전망이다. 당분간 예정된 대형 호재가 없는 가운데 미국 경제와 정책 불확실성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급격한 반등과 추가 상승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분석이 나온다.
코인데스크는 "미국의 불법 이민자 추방 정책과 함께 추가 관세 부과로 재개된 무역 전쟁은 인플레이션을 가중할 수 있으며 연준의 금리 인하도 어렵게 만들 수 있다"며 "위험자산 회피 신호가 나오고 있으며 비트코인의 약세는 이런 우려를 반영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인 로버트 기요사키도 "트럼프 관세 정책이 시작돼 금, 비트코인이 더 추락할 수 있다"며 "진짜 문제는 미국 부채이며 이것이 상황을 더 악화시킬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