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도로 깔 준비 됐는데'…'빈손 회담'에 힘 빠진 건설사

  • 2019.03.04(월) 15:46

건설사 '새 먹거리' 기대감 컸지만, 실망감에 시장도 '출렁'
"대북제재에도 타당성 조사 등 준비 필요"

지난달 27~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북미 정상회담이 예상치 못한 '노딜(No Deal)'로 끝났다. 이 여파로 기대를 모았던 남북 경제협력도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남북 경협이 본격화되면 가장 먼저 대북 사업을 펼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던 건설업계의 실망이 클 수밖에 없다. 대북 사업은 불확실성이 크지만 침체된 국내 건설사들이 반등 계기로 삼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였던 탓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사업이 본격화되려면 여러 절차가 필요했던 만큼 일희일비하지 않는 모습이다. 전문가들도 지금 할 수 있는 것부터 차근차근 준비해야 향후 건설사들이 대북사업에 더 효율적으로 나설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한다.

◇ '새 먹거리' 기대 컸던 건설업계

건설업계는 어느 업계보다 북미 정상회담 결과에 대한 기대가 컸다. 국내 주택시장이 침체기에 빠졌고, 해외시장에서도 수주 경쟁이 치열해지며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새로운 먹거리인 셈이다. 대북 사업은 정치적 불확실성만 해소되면 건설사들이 반등할 수 있는 큰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과거 남북 경제협력이 이뤄질 당시 국내 건설사들은 북한에서 다수의 사업을 진행한 바 있다.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사업이 본격화된 2000년대 초중반에는 이들 지역을 육로로 연결하는 도로와 철도 공사, 남북출입사무소 등의 공사가 추진됐다.

이 뿐 아니다. 체육과 종교, 관광과 산업단지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도 건설사들이 참여했다. 철도와 도로 등 북한의 사회기반시설이 취약한 까닭에 남북 경협이 재개된다면 건설사들은 가장 먼저 북한에 진출할 수 있는 업계로 꼽혔다.

남북 경협이 이뤄지려면 북미 간 합의를 통해 대북 경제제재 해제가 우선이다.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에서 남북경협에 대한 합의안이 도출될 것이란 기대도 나왔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북미 정상회담이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제재 해제를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 됐다.

라진성 키움증권 연구원은 "빠른 시일에 북미 3차 정상회담이 재개된다 하더라도 최소한 재제완화에 대한 합의가 있기 전까지는 경협 모멘텀은 소멸됐다고 보는 게 합리적 판단"이라며 "이로 인해 제재완화 합의를 전제로 남북경협을 본격화하려던 정부 계획에도 차질이 생겼다"고 분석했다.

◇ 시장은 출렁였지만…교류확대 장기전 준비해야

북미 정상회담 결렬 소식에 시장은 크게 출렁였다. 대북사업 수혜주로 꼽혔던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 등 대형 건설사들 주가는 지난 달 28일 큰 폭으로 하락하기도 했다. 4일에도 현대건설은 5.07% 떨어졌고 GS건설과 대우건설은 각각 2.69%, 0.59% 빠졌다. 삼성엔지니어링은 0.32%, 대림산업은 0.53% 하락했다.

다만 건설업계는 애초 공식적인 대북제재 완화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에 비교적 덤덤한 분위기다. 이번 북미 회담에서는 성과를 내지 못했지만 북한이 비핵화를 통해 정상 국가로서 고도의 경제 성장을 추구할 가능성은 여전히 크기 때문에 기대감 또한 유효하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특정 회담 결과에 일희일비하지는 않는다"며 "다만 대북 사업이 본격화되면 언제든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준비는 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대부분의 건설사들이 지난해 이후 대북사업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남북 경협 시 대북 사업 최전선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 현대건설은 대북 TF(태스크포스) 팀을 운영하고 있다. 올 초에도 회의를 열어 대북 제재가 풀리면 바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삼성물산과 대우건설, GS건설과 포스코건설, 대림산업 등도 대북사업 TF를 운영하면서 남북 경협이 본격화되기 만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다.

박용석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2차 북미정상 회담도 비핵화를 위한 과정 중 하나일 뿐이고, 이전과 비교하면 남북관계는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교류도 이전보다 늘어날 것"이라며 "향후 남북 경협이 시작할 때를 대비해 지금 할 수 있는 것부터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 인프라 개발을 위한 타당성조사 등은 대북제재가 있어도 가능하다"며 "이를 통해 인프라 종합계획과 개별 프로젝트 개발계획 등을 세워놓는다면 향후 대북사업이 본격화됐을 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naver daum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