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입은행이 올해 우리나라 주력산업에 최대 10조원을 중점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2차전지와 반도체 등 첨단전략산업 국내 공급망 생태계 활성화 등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수출입은행은 13일 '공급망안정화기금 2025년도 기금 운용계획' 수립을 의결했다. 올해 첨단전략산업과 자원안보, 국민경제 필수재와 물류 인프라 등 주력 산업에 최대 10조원을 중점 지원한다는 게 골자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라 통상환경이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우리나라 공급망 안정화와 위기 대응력 제고를 위해 기금 규모를 전년(5조원)보다 두 배 수준으로 확대했다.
이를 위해 국회는 지난해 말 10조원 규모 공급망기금채권에 대한 국가보증동의안을 의결한 바 있다.
공급망 생태계 활성화의 본격 추진을 위해 세부 분야별 맞춤형 지원 방안도 마련한다. 전기차 캐즘과 중국 저가공세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 2차전지와 반도체 소재업체 등의 지원을 목적으로 소재 수요 기업에 대해 국내 소재 구매조건부 자금을 유리한 금리로 제공한다.
민관협력 기반 핵심광물 투자 촉진을 위해 출범하는 '핵심광물 투자 협의회'를 통해선 최대 500억원 수준의 민관 공동투자 등 금융 패키지 지원도 추진한다.
기금 관계자는 "미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 정책 등 자국 우선주의 기조 강화로 글로벌 공급망 분절화가 심화되고 있다"며 "기금은 첨단전략산업 등 우리나라 주력산업 공급망 생태계 강화를 적극 지원해 우리 경제의 안전판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