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여러분께 저를 이렇게 소개하며 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아시아나항공 회장 조원태입니다."
"흡수 아니다…서로에 스며들며 화합"
지난 16일 조원태 대한항공 회장, 아니 아시아나항공 회장이 아시아나항공 임직원에게 보낸 메시지입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결합이 실감 나는 순간인데요. 대한항공은 지난달 12일 아시아나항공을 자회사로 편입했습니다. 무려 4년에 걸친 기업결합 절차가 마무리된 것이었죠.
아시아나항공은 2년간 자회사 체제를 유지한 후 2026년 10월쯤 대한항공에 통합될 예정입니다. 두 회사가 40년 가까이 다른 회사로 운영된 만큼 자회사 편입이라는 물리적 결합 외에도 두 회사가 본질부터 어우러지는 '화학적 결합'이 필수적인데요.
조 회장은 양사의 화학적 결합을 지속 강조해 왔습니다. 이번 아시아나 임직원에게 보낸 메시지에도 그의 의중이 드러납니다. 그는 통합 항공사로 거듭나기 위한 2년의 기간 동안 혁신에 가까운 변화가 동반될 것이라고 전제하며 "조직과 시스템을 하나로 만드는 물리적인 준비는 물론,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화합의 기반을 다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우리의 통합은 한 회사에 다른 회사가 흡수되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서로가 서로에게 스며드는 과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죠.
조 회장은 아시아나항공 임직원들의 소속감을 북돋우며, 불안감을 달래기도 했습니다. 그는 "여러분들이 차곡차곡 쌓아온 기반 위에서의 변화가 이뤄질 것이기에 두려워할 것은 없다"며 "아시아나항공만의 고유한 문화와 자산이 사라지는 것도 원치 않는다"고 했죠. 그러면서 조 회장은 자신을 "대한항공 회장이기도, 아시아나항공 회장이기도 하다"며 "두 회사의 임직원 모두 다르지 않은, 똑같이 소중한 가족"이라고 언급했는데요.
대한항공 심고 아시아나 지우고
이는 최근 실시한 첫 임원인사를 인식한 발언처럼 보입니다. 최근 한진그룹은 대한항공을 비롯해 아시아나항공, 에어서울, 에어부산 등 자회사에 대한 임원인사를 단행했는데요.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한 후 첫 임원인사라 관심이 더욱 관심이 쏠렸죠.
이번 인사의 큰 흐름은 '대한항공 DNA 심기'였습니다. 먼저 대한항공에선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이 부회장으로 승진했습니다. 아시아나항공과의 기업결합을 이끈 공을 인정받아 6년 만에 부회장직까지 부활시키며 자축하는 분위기가 조성됐죠.
이에 비해 아시아나항공은 물론 LCC(저비용항공사) 계열사 대표까지 대한항공 출신의 임원진으로 채워졌습니다. 본격적인 '흔적 지우기'에 나선 것인데요. 아시아나항공은 이사회를 열고 신임 대표이사로 송보영 부사장을 선임하는 안건을 통과시켰습니다. 송 신임 대표이사는 대한항공 여객사업본부장 출신이고요.
또 아시아나항공에서 배출된 15명의 승진 중 아시아나항공에서 근무하던 이들은 김진 서비스본부장 전무, 조용순 안전·보안담당상무 등 2명에 불과하죠.
에어부산과 에어서울도 대한항공 출신의 임원을 신임 대표이사로 올렸습니다. 정병섭 에어부산 신임 대표이사는 지난 1991년 대한항공에 입사해 스케줄영업부, 여객영업부 등을 담당했고요. 김중호 에어서울 신임 대표이사도 1991년 대한항공에 입사, 후쿠오카, 오사카 등에서 지점장 등을 지냈습니다. 조 회장의 이번 메시지가 경영진 교체 과정에서 잡음이 생기지 않기 위한 조치로 풀이되는 이유죠.
"구조조정 없다"…'동행' 의지 지켜질까
일각에서는 한진그룹이 이번 임원 인사를 시작으로 자회사에 대한 과도한 구조조정을 진행할 것이라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오는데요. 이번 대규모 인사 조치가 다소 과격한 조치로 보일 수 있지만, 사실 이는 통합 항공사로 거듭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이기는 합니다.
업계 관계자는 "아시아나항공이 대한항공과 완전 통합된 뒤 안정적으로 업무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대한항공 인사들이 주요 부문에 배치돼야 한다"고 설명하죠.
그간 대한항공은 인력 조정에 대해 "인위적 인력 구조조정은 없다"고 강조해 왔습니다. 경영 안정을 위한 경영진 교체는 필연적일 수 있어도, 일반 직원들에 대한 고용 안정은 보장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셈이죠.
조 회장의 메시지에서도 희망은 보입니다. 그는 "이제 우리에게는 함께 할 시간만 남아 있다"며 "대한민국 최고의 항공업계 전문가라는 자부심이 빛을 잃지 않도록 든든한 조력자로서 함께 하겠다"라며 새 가족이 된 아시아나항공 임직원과의 '동행 의지'를 유독 강조했죠.
현재 대한항공은 새로운 기업이미지(CI) 공개 등 통합 대한항공을 위한 여러 방안을 고심하고 있는데요. "인고의 세월이 길었던 만큼 그 과실은 더 클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는 조 회장의 말처럼, 통합 대한항공이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과실을 맺길 기대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