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역대 가장 얇은 스마트폰 '갤럭시 S25 엣지'를 공개하며 초슬림폰 경쟁의 서막을 열었다. 두께 5.8mm, 무게 163g의 갤럭시 S25 엣지는 디자인과 성능, 내구성까지 세 토끼를 모두 잡은 동시에 초슬림폰 카테고리의 기준점을 다시 썼다는 평가다.
초슬림 5.8mm에 플래그십 DNA
갤럭시 S25 엣지의 가장 큰 특징은 단연 '5.8mm' 초박형 두께다. S 시리즈 중 처음으로 5mm대 두께를 구현했다. 기존 갤럭시 S25(7.2mm), S25 울트라(8.2mm)보다 각각 1.4mm, 2.4mm 얇은 수치다.
화면은 S25플러스와 동일한 6.66인치지만, 무게를 163g으로 30g 가까이 줄였다. 삼성이 이처럼 극단적으로 얇고 가벼운 스마트폰을 선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프레임은 울트라 모델과 동일한 티타늄 소재를 채택해 내구성을 끌어올렸고, 디스플레이 전면에는 삼성 최초로 '고릴라 글래스 세라믹2'를 적용해 충격 강도를 기존 대비 40% 이상 개선했다.
초슬림 디자인의 숙명인 발열과 배터리 이슈는 정공법으로 돌파했다. 3900mAh 배터리를 탑재해 전작 S25(4000mAh) 대비 소폭 줄었으나, 베이퍼 챔버 면적을 S25 대비 10% 늘려 발열 제어 성능을 보완했다.
문성훈 삼성전자 MX사업부 부사장은 "슬림을 구현하기 위해 모든 부품을 제로 베이스에서 재설계했고, 수년간 프로토타입 테스트를 거쳤다"며 "얇고 아름다운 디자인을 넘어 견고함과 성능까지 갖춘 스마트폰"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전면 프레임 구조 일부를 제거하고, 열 확산 신소재와 맞춤형 TIM(열전달 인터페이스 재료)을 적용해 성능과 냉각의 균형을 잡았다"고 부연했다.

카메라도 백미다. 후면에 2억 화소 초고해상 카메라를 탑재했다. 이는 S25 울트라와 동일한 사양이다. 1200만 화소 초광각 렌즈로 넓은 프레임을 한 번에 촬영할 수 있고, 자동 초점(AF) 기능이 추가돼 접사 촬영까지 가능하다. 영상·사진 편집 기능도 강화됐다. △생성형 편집 △로그 비디오 △가상 조리개 조절 등 전문가용 기능이 대거 포함됐다.
문 부사장은 "얇은 디자인을 위해 카메라 높이도 10% 이상 줄였다"며 "홀 구조 설계, 맞춤형 방열 소재, 구조 강화 등 모든 기술 혁신이 집약된 결과물"이라고 설명했다.
AI 기능도 진화했다. 구글 '제미나이'와 협업한 '실시간 비주얼 AI' 기능은 카메라로 사물을 비추며 음성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강력한 온디바이스 연산과 클라우드 AI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모델로, 사용자는 "이 옷 어때?"라고 묻는 것만으로 날씨·장소에 맞는 스타일링 제안을 받을 수 있다.

'엣지' 주력 라인으로…슬림폰 대중화 시동
통상 업계에선 디자인에만 몰두한 나머지 성능을 희생한 제품을 두고 '디자인이 설계를 눌렀다'는 냉소가 따라붙는다. 기능보다 형식을 앞세운 외형주의에 대한 비판이다. 그러나 S25 엣지는 이런 우려를 단호히 지우며 디자인과 기술의 공존 가능성을 증명했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도 "S25 엣지는 초슬림 기술의 한계를 넘은 제품"이라고 자평했다.
삼성은 엣지를 전략적 '리미티드 모델'이 아닌 정식 라인업 내 '메인스트림 제품'으로 포지셔닝했다. 차세대 폼팩터로서의 본격 시장 진입 선언인 셈이다.
삼성이 엣지를 주력으로 내세운 배경은 명확하다. 슬림이라는 미학적 가치를 기술적 완성도와 접목해야만 새로운 시장의 주도권을 선점할 수 있다는 전략적 판단에서다. 최근 초슬림폰은 디자인 소비를 넘어 성능·내구성·AI 경험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카테고리로 부상하고 있다. 실적 기여 측면에서도 매출과 수익 모두를 견인할 잠재력이 크다는 평가다.
강민석 삼성전자 MX사업부 상무는 "엣지는 한정판이 아닌 슬림폰 경쟁에서 주도적 역할을 맡을 핵심 제품으로 개발됐다"며 "비욘드 슬림이라는 키워드 아래 완성도 높은 슬림 기술과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을 구현하는 데 집중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S25 엣지가 단순 영업이익률 하락을 보완하기 위한 제품은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매출과 이익 모두에서 긍정적 기여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임성택 삼성전자 한국총괄 부사장은 "특히 1030세대에서 큰 관심을 보이고 있고 전작 대비 판매량이 크게 늘 것"이라고 확신했다.

한편 초슬림폰 경쟁은 삼성과 애플의 양강 대결로 번질 전망이다. 애플은 오는 9월 '아이폰 17 에어' 출시를 예고하고 있다. 두께는 5.5mm로 S25 엣지보다 0.3mm 더 얇을 것으로 알려진다. 아이폰 역사상 가장 얇은 모델이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얇은 두께에 고사양 AP·울트라급 카메라·AI 기능까지 담아낸 만큼 애플도 초슬림에 프리미엄을 더해 승부수를 띄울 것"이라며 "초슬림폰 시장은 단순 유행이 아닌 하드웨어 기술력의 새로운 격전지"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