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화학이 LG에너지솔루션 보유 지분을 활용, 1조4000억원 규모 해외 교환사채(EB)를 발행키로 했다. 실탄을 마련하면서도 지배력은 그대로 유지하는 구조다. 2년여전 발행된 EB 조기상환청구권(풋옵션) 행사 시점을 앞두고 이뤄진 이번 조치는 정교하게 설계된 차환 전략인 동시에 시장 불확실성 속 유동성 관리를 위한 선제적 대응으로도 해석된다.
지분은 그대로, 자금만 뽑는 '구조형 조달'
LG화학이 LG에너지솔루션 보유 지분을 활용해 10억달러(약 1조3945억원) 규모의 해외 교환사채(EB)를 발행한다. 지난 2023년 7월 발행한 기존 EB의 풋옵션 행사 시점을 앞두고 이를 차환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번에 발행되는 EB는 표면·만기 이자율 연 2.0%, 만기 3년 조건이다. 교환 대상은 LG에너지솔루션 보통주 412만9409주(지분율 1.76%)이며, 교환가액은 주당 33만7700원으로 설정됐다. 이는 지난 15일 종가 대비 110~115% 수준이다.
LG화학은 앞서 5년·7년 만기의 EB를 각각 10억달러 규모로 발행한 바 있다. 이 중 5년물에 대한 풋옵션 행사 가능일이 오는 7월 18일로 다가오고 있다. 해당 EB의 교환가액은 68만7500원이지만, LG에너지솔루션 주가는 현재 30만원 수준으로 절반 이상 하락한 상태다. 주가가 교환가를 밑돌면서 전환 수익이 사라졌고, 투자자 전원이 조기상환을 요청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번 EB는 실질적으로 '현금 조달형 EB'로 평가된다. 교환가를 주가보다 높게 설정해 지분 희석 우려를 줄이고 주식 전환 가능성도 낮게 설계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만기 이전 조기상환(Call) 조항도 삽입, 일정 조건 충족 시 회사가 먼저 상환할 수 있도록 구조를 설계했다.
반면 투자자의 풋옵션은 제한적으로 재설계됐다. 발행일로부터 일정 기간 내 조기상환이 가능했던 기존 구조와 달리 이번 EB는 상장폐지·지배권 변화·지분율 초과 등 특정 조건에서만 풋옵션을 행사할 수 있도록 바뀌었다.
시장에서는 LG화학의 이번 EB 발행을 두고 '지분은 팔지 않고 실탄을 확보하는 정교한 자금 전략'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앞서 LG화학은 지난해 LG에너지솔루션 지분 일부를 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주가 하락과 시장 불확실성으로 계획을 철회한 바 있다. 현재 LG화학은 LG에너지솔루션의 지분 81.84%를 보유 중이다.
3조 투자 유출에도 버틴 LG…해답은 '외부 조달'
일각선 LG화학의 유동성 여력을 점검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실제 LG화학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영업활동 현금흐름 1조8910억원 △투자활동 현금흐름 –3조8550억원 △재무활동 현금흐름 1조1840억원 등을 기록했다. 영업활동에서의 현금 창출력은 전년 동기(4540억원) 대비 4배 이상 늘었지만, 전 분기(4조2270억원)보다는 큰 폭으로 줄었다.
투자활동에서는 1년 넘게 분기당 3조원대 현금 유출이 지속되고 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지난해 4분기 –2조3940억원에서 올해 1분기 1조1840억원으로 반등했는데, 이는 해당 기간 약 2조원 규모의 차입이 유입된 데 따른 결과다. LG화학은 지난해 1분기와 3분기에도 각각 2조7550억원, 3조3610억원 차입금을 조달한 바 있다.
현금 유동성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올 1분기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전 분기(8068억원) 대비 약 775억원 줄어든 7293억원으로 파악된다. 전년 동기(9294억원) 대비로는 약 2000억원 이상 줄었다.
부채비율도 100%에 근접했다. 2023년 말 89.2%에서 지난해 말 95.6%, 올 1분기 97.7%로 올라섰다. 현금 창출력은 유지되고 있지만, 대규모 설비투자와 차입 조달 확대가 맞물리면서 LG화학 유동성 레버리지는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흐름이다.
LG화학 관계자는 "이번 EB 발행은 시장 금리와 변동성을 고려해 상대적으로 유리한 조건으로 자금을 재조달하는 조치"라며 "향후 전지 소재 및 주요 신사업 투자에 대한 선택과 집중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번 EB는 HSBC, 뱅크오브아메리카, 모건스탠리가 주관하며 유럽 및 아시아 시장의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사모 방식으로 발행된다. 발행 직후 비엔나 증권거래소에 상장될 예정이다.